earticle

논문검색

기술논문

선량 판독용 OSL 측정장치의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OSL Dosimetry Reader

박창영, 정기수, 이종덕, 장인수, 이정일, 김장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sign and performance test results of a newly developed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measurement system are presented in this paper. Generally, different types of optical filters are used in OSL reader system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stimulation light in the OSL signal. For optically stimulation of Al2O3:C, we have arrived at an optimal combination of the filters, i.e., GG420 filter for filtering the stimulating light source, and a combined UG11 and BG39 filter at the detecting window (PMT). By using a high luminance blue LED (Luxeon V), sufficient luminous intensity could be obtained for optically stimulation. By using various control boards, the OSL reader device was successfully interfaced with a personal computer. A software was developed to deliver required commands to operate the OSL reader by using the LabView program (National Instruments, Inc.). In orde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the reproducibility of newly designed-OSL reader. Performance testing of the OSL reader was carried out for OSL efficiency, OSL decay curve and signal to noise ratio of the standard Al2O3:C OSL material. It was found to be comparable with that of commercial Riso reader system.

한국어

개인 선량계로 활용될 수 있는 광자극발광(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측정장치의 개발과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 및 개발된 장치의 성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OSL 측정장치는 자극광원과 시료로부터 자극 발광된 광신호 사이의 간섭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광학적 필터 조합을 구성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자극광에는 GG420 필터를, 측정부에는 UG11과 BG39 필터로 Al2O3:C OSL 물질에 최적화된 광학적 필터를 구성하였다. 자극광원으로 Luxeon V형 고휘도 Blue LED를 선택함으로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였다. 또한 장비 제어 및 측정을 위하여 PC와 OSL 장치 사이에 다양한 제어보드들이 이용되며, 전체 장치의 자동화 및 장치제어는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OSL 장치의 신뢰도 및 재현성 평가를 위해 대표적인 OSL 물질인 Al2O3:C를 이용하여 OSL 특성곡선을 측정하고 이를 기존 상용 OSL 측정장치와 비교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
 3. 장치의 구성
  3.1 자극광원부
  3.2 광측정부
  3.3 장치 제어부
 4. 장치의 특성평가
 5.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창영 Chang-Young Park.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 정기수 Ki-Soo Chung.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 이종덕 Jong-Duk Lee. 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
  • 장인수 In-Su Chang. 한국원자력연구원
  • 이정일 Jungil Lee.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장렬 Jang-Lyul Kim. 한국원자력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