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some major empirical issues relating to current account adjustments of 4 industrialized countries in the post-Bretton Woods era.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conventional unit root tests fail to reject the null hypothesis of a unit root of current accounts, newly developed nonlinear unit-root tests reject the null of a unit root in favor of nonlinear mean reversion for the current accounts of Germany and the UK. Second, we find evidence of thresholds of current account in Germany and the UK. Systematic adjustment in the UK current account deficit takes place when the deficit exceeds -2.07 percent of GDP, while for Germany, current account adjustment begins to take place once the surplus crosses 1.64 percent of GDP. Finally, instead of imposing the criteria to select a current account reversal ex- ante, we identify the reversal episodes of large current account adjustments for Germany and the UK using thresholds that are estimated from the data. Our VAR analysis indicates that movement of current accounts of Germany and the UK in the reversal episodes turn out to be dominated by variations in the domestic GDP and real exchange rates.
한국어
본 논문은 Bretton Woods 시스템 이후 4개 주요 선진국들의 경상수지 불균형 조정과정에 관련된 주요 이슈를 분석하였다. 주요 발견의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단위근 검정법은 4개국 모두에서 경상수지에 단위근이 존재한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였다. 반면, 최근 개발된 비선형 단위근 검정법에서는 독일과 영국의 경우 단위근 가설이 기각되고 경상수지가 비선형 평균회복 성향을 보인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둘째, 추정된 임계선을 사용한 분석에서, 영국의 경우 경상수지적자가 GDP의 -2.07%를 초과하는 경우 체계적인 경상수지조정과정이 발생하며, 독일의 경우 경상수지흑자가 GDP의 1.64%를 초과하는 경우 체계적인 경상수지조정과정이 발생한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사전에 결정된 기준 대신 추정된 임계선을 이용하여 경상수지반전 에피소드를 구별하여 분석하였다. VAR 추정결과 경상수지반전 기간 중의 경상수지 움직임은 주로 GDP와 실질이자율의 변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I. Introduction
II. Three issues on current account imbalances
2.1 Sustainability
2.2 Threshold and reversal of current account adjustments
III. Empirical results using threshold AR models
3.1 Data description
3.2 Econometric methodology
3.3 Unit root test and sustainability
3.4 Threshold
IV. Current account reversals
4.1 Descriptive analysis
4.2 VAR analysis
V. Conclusion
References
논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