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일 통일헌법 제정상의 교훈을 통한 한반도 통일헌법 구상

원문정보

A Lesson on Establishment Stage of Unified Constitution in Germany and a Consideration of Unified Constitution on Korean

김상겸, 정윤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erman unification was believed that unification would develop slowly and through a number of stages. However, after changes in the GDR, a speedier and shorter unification process became possible. Particularly, three solution could be taken into account. First, A federation could be established, in which both states would maintain their sovereignty, but at the same time would be bound to one another by a conjunctive organization with its own sovereign rights and institutions. Second, It was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s state, in which both constituent states would be dissolved. A new constitution would have to be created, one which entailed the very different experiences of both previous states. This was the solution provided in the Preamble and in Article 146 of the Basic Law of the FRG. Third, It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unification according to an article in the Basic Law which had not been used for sometime, only suddenly to be called into action. Article 23, describing the boundaries of the Basic Law, concedes "other parts of Germany"-and so the GDR-The rights to“join”the FRG. It say That the constitution should be instated in these parts once they have joined the FRG. German unification and constitutional drafting process has taught us valuable lessons about the unifica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note is to carefully analyze the German unification and its process. Part Ⅲ examines constitutional drafting process and standard process. Part Ⅳ consideration of unified constitution on Korean. Part Ⅴ suggests proposal thing in present situation of Korea.

한국어

독일의 통일은 사실 많은 난관에 부딪치며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봤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동독의 변화는 독일통일을 더 빠르게 앞당겼다. 무엇보다도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이 독일을 통일로 이끈 원동력이 아닌가 싶다. 첫째,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독일연방의 형성이다. 하지만 이 두 연방은 한쪽이 다른 쪽으로 영향을 줌으로써 변화를 이끌어냈다. 둘째, 단일국가의 형성을 위해 동독과 서독을 통합시키기 위한 헌법을 만들고자 했지만, 이전 두 체제는 이질성을 많이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반된 두 체제의 통합은 구서독 기본법 제146조에서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하지만 보다 합리적인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있었고, 이의 방법으로 셋째, 기본법 제23조에 의한 동독지역의 서독으로의 편입방법이 채택되었던 것이다. 이로써 독일은 평화적인 흡수통일을 이룩하게 되었다. 이후 기본법 제146조에 의거 통일헌법을 새롭게 제정하고자 했으나, 이미 기본법이 헌법질서화 된 상황에서 통일헌법으로 재탄생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이러한 독일의 통일과 헌법제정과정 등은 통일을 앞둔 우리에게 모범사례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독일통일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독일통일헌법 제정과정과 헌법체제의 규범화, 그리고 이를 통한 남북통일 헌법제정의 구상 등에 대해서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독일의 통일과정
 III. 독일 통일헌법의 제정과 규범화
 VI. 한반도 통일헌법 제정의 구상
 V.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상겸 Kim, Sang-Kyum. 동국대학교 법학과 교수.
  • 정윤선 Jung, Youn-sun. 전남과학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