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rection in the Educational Evaluation Method -Focused on Arts & Culture Education of School-
초록
영어
By applying the process in art criticism to educational evaluation, Eisner has proposed the qualitative method for educational evaluation, that is, the model of educational criticism with educational connoisseu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esent evaluation method of dance education provided in the program of arts & culture education of school,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educational evaluation based on the model of educational criticism. The research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evaluation domains, educational activities and school/facilities, may be expanded to include additional domains regarding students and educational space. Secondly, because the current evaluation method consists of educational activities being measurable in magnitude, it may be needed to develop additional evaluation factors not being subject to quantitative measurement. In this sense, the method of critical writing may be used as an additional evaluation means. Thirdly, evaluating the way of how to conduct assessment in classes ma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in critical perception as well as the dynamics in the learning process. Therefore, it is needed to strengthen evaluation items in educational evaluation.
한국어
Eisner는 예술적 감정안을 가지고 수행되는 예술비평방법을 교육평가에 도입시켜 질적 평가방법으로서 교육비평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평가모형의 관점에서 현재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의 무용교육평가방법에 대한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현재 교육활동과 학교/시설로 구분된 평가영역은 학생 및 교육공간을 포함하여 보다 확장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의 평가방법이 계량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활동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교육현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계량적 평가에 종속되지 않는 평가항목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현상에 대한 기술, 해석, 평가 및 일반적 주제 도출로 구현되는 무용교육비평 글쓰기가 추가적 평가방법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실에서 평가가 어떠한 방식에서 진행되는가를 평가하는 것은 비평적 사고력의 제고뿐 아니라 학습의 동학적 발전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평가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목차
II. 교육비평모형의 개념 및 구성요소
III.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 무용교육평가의 실태 및 문제점
IV.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 무용교육평가의 개선방향
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