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파랑새와 고대 한국의 춤 -향악잡영오수와 일본 궁중춤 비교 연구-

원문정보

Blue Birds and Ancient Korean Dances

서정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animated by a curiosity about ancient Korean dance features. Two obvious difficulties hamper the study of the dance:(1) Source materials such as historical records, illustrations and notations, which might enable one to conjecture its various figures, are scarce; (2) It is thought that there may be no comparable dances, for dances from this epoch are no longer performed in Korea. Due to the scarcity of dance records in Korea, the ancient poems, Five poems regarding various Korean performances (鄕樂雜詠五首 Hyangak chapyŏng osu) is invaluable to draw a picture of ancient Korean dances. The five poems, composed by Ch’oe Ch’iwŏn (崔致遠, 857–?), depict five dances performed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On the other hand, most of Korean historical records only mention a few dance titles in respect to the ancient period, and with the title alon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concrete features. Hence, it is important that the five poems record not only titles but also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By analyzing these poem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nature of ancient Korean performance. When we compare between ‘Soktok’ in Five poems regarding various Korean performances and ‘Hassen’ in the Japanese court dances, we can find common features. They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blue bird, lan. This shows that the performance depicted in the poem ‘Soktok’ may well be that of ‘Hassen’ in the Japanese court. If so,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Soktok’ and ‘Hassen’ through ‘Sasŏnmu’ in Korean court dances:to wish for the audience’s longevity through the message brought by the blue birds, lan.

한국어

본 연구는 한일 궁중 춤 비교 연구를 통해 고대 한국춤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신라의 최치원이 지은 향악잡영오수 중 <束毒> 와 일본의 궁중 춤인 <崑崙八仙>의 비교 연구하여, 고대 한국 춤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고대 동아시아 신화를 새롭게 이해해 보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束毒>의 내용을 분석해 보면 고대 한국에서 창작되어 일본에 전래된 춤인 <崑崙八仙>과 상당히 많은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이 춤에 대한 구체적인 배경과 내용은 일본 궁중에 남아 있는 다른 대부분의 高麗樂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현재까지 未詳인 체로 남아 있다는 점이다. 한편 일본의 여러 역사적인 문헌들은 이 춤이 중국의 신선설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춤이 고대 한국에서 전래되었다는 점과 중국의 기록과 일본의 역사 기록이 불일치 한다는 점에서 이를 반박할 근거는 충분히 존재한다. <束毒>과 <崑崙八仙>의 비교를 통해, <崑崙八仙>은 鸞의 춤을 상징하며 그 의상에서 보이는 물고기 문양은 文鰩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춤은 <束毒>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게다가 鄕樂呈才 중 신라의 花郞의 이야기와 西王母의 전설이 결합되어 있는 <四仙舞>를 고려하여 볼 때, 이 춤은 한국의 仙敎를 중심으로 조사해 보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이를 통해 최치원이 鸞郞碑序文에서 밝힌 신라의 三敎 중 하나인 仙敎와 西王母의 전설이 관련이 있을 것이라 조심스럽게 추정해 볼 수 있다.

목차

1. 서론
 2. 속독(束毒)
 3. 파랑새, 난(驚)
 4. 속독과 일본 궁중춤 핫센(八仙)
 5. 한국의 사선(四仙)
 6.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서정록 Seo, Jung-Rock. 박사, 런던대학교 SOAS,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