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연과학영역

Differences of Obesity and Fatigue-related variables, 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Anabolic Hormone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Combined Training for Adult Males

원문정보

복합운동 강도에 따른 비만 및 피로관련변인, 유산소성 운동능력, 단백동화호르몬 농도의 차이

Won, Kwang-Hee, Jang, Jee-Hu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복합운동의 강도에 따른 비만 및 피로관련변인, 유산소성 운동능력, 단백동화호르몬 농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1명의 건강한 성인남성을 대조그룹(CTRL), 저강도운동그룹(LI), 중강도운동그룹(MI)으로 나누어 무선배정한 후 유산소성운동과 무산소성운동으로 구성된 복합운동을 12주간, 주 3회, 1회 300kcal를 소비하도록 적용하고 운동 전, 운동 6주 후, 운동 12주 후 측정변인들을 반복측정하였다. 체지방율과 WHR은 LI와 MI에서 운동 12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CTRL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최대산소섭취량과 젖산역치수준은 MI에서 운동 12주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LI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테스토스테론, 성장호르몬, IGF-Ⅰ농도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5-HT 농도는 운동 6주 후부터 모든 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암모니아농도는 CTRL에서 운동 12주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LI와 MI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젖산농도는 MI에서 운동 12주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CTRL과 LI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유의한 증가를 위해서는 중강도 이상의 운동강도가 효과적이었으며, 피로유발 측면에서는 중강도의 운동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으로 인한 피로 예방과 체지방 감소 효과를 위한 장기적인 운동으로는 저강도의 운동이 추천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Methods
  1. Participants
  2. Experimental procedure and exercise program
  3. Blood Sampling
  4. Measurement variables and analysis
  5. Statistics
 Ⅲ. Results
  1. Obesity-related variables
  2. Aerobic exercise capacity
  3. Anabolic Hormones
  4. Fatigue-related variable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Won, Kwang-Hee 원광희. WE Sports Clinic
  • Jang, Jee-Hun 장지훈. Kwandong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