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중학교 시(詩)단원 총괄평가의 실태를 분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과 평가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부족하며 특히 총괄평가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다. 총괄평가가 내신 반영의 가장 큰 항목을 차지하고 있음을 생각할 때 총괄평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또한 총괄평가에서는 문항의 적절성이 평가의 성패를 좌우한다.
특히 국어과 영역 중 문학교육의 경우 인지적․정의적․심미적 영역이 모두 복합되어 있기 때문에 평가에 어려움을 느낀다. 무엇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 정확한 기준이 없어서 더욱 그러하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총괄평가 문항은 ‘문학적 사고’를 진작시키지 못하고 있다. 특히 총괄평가에서 선다형 평가가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는 서술형 평가에 비해 채점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의 출제는 서술형보다 선다형이 더 어렵다. 특히 단순 정보의 회상 아닌 고등 수준의 능력평가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작품의 이해도를 총체적으로 평가해야 할 문학영역도 지식이나 기능 평가에 그칠 수 있기 때문에 평가 문항의 내적 적절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총괄평가의 실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총괄평가의 실태를 탐색하기 위해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평가 목표 및 방법, 문항 유형과 이원분류표를 분석하여 해당 문항과 일치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평가 목표와 문항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평가 문항의 형식을 분석하였으며, 문항 응답 반응 자료를 분석하여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 신뢰도 및 오답지의 매력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 단원 평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지향점을 모색하였다.평가 요소 개선 방안과 문항 제작 개선 방안을 나누어 살펴보고, 평가 문항 제작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노력으로 국어과 평가 영역에 실제적인 연구에 한걸음 나아가길 기대한다.
목차
Ⅱ. 시(詩) 단원 총괄평가의 실태 분석
1. 평가 요소 분석
2. 문항 형식 분석
3. 난이도 분석
Ⅲ. 평가 개선 방안
1. 평가 요소 반영의 측면
2. 문항 제작 과정의 측면
3. 평가 문항 제작의 실례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