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ynaesthesia of Sound and Color between Samulnori and Korea’s five traditional color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study the tone of Korean Samulnori musical instruments,, ‘ing’ ‘kwaenggwari’ ‘uk’and ‘anggu’ according to FFT(fast fourier transform) and examine musical traits of each four musical instrument. To do it, this thesis attemp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Korea’ five traditional colors, red, blue, yellow, white and black and apply such concept into Korean Samulnori musical instruments. Considering each characteristic of the ratio of overtone and noise that re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have, it can not be concluded that just one musical instrument can not represent just single color, but rather multiple musical tones. Based on this, the research thesis assumes relevant traits and patterns.
The analytic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g’stands for black-yellow, ‘kwaenggwari’stands for white-blue color. ‘uk’represents black-red. ‘anggu’represents white-red/blu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사물놀이의 네 가지 악기인 징, 꽹과리, 북, 장구의 음색을 FFT(fast fourier transform)으로 분석하여 각 악기의 음색적 특징을 찾아, 그것을 한국의 오방정색의 개념에 대입하여 사물놀이의 악기들이 어떻게 다섯 가지의 오방정색에 색청적으로 대입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타악기 특성상 배음의 비율과 노이즈 등을 고려할 때 하나의 악기가 단 한가지의 색만 대변한다고 볼 수 없으며, 여러 가지 음색상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 다음과 같이 유추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징은 흑-황색, 꽹과리는 백-청색, 북은 흑-적색, 장구는 백-적/청색을 나타내고 있다.
목차
Abstract
I.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
II. 서양의 색청(Color-Hearing)연구와 한국의 오방색
2.1 서양에서의 음의 진동과 빛의 파장 간의 색청 연구
2.2 한국의 오방정색과 오방간색
Ⅲ. 사물놀이 각 악기의 분석 및 오방색에서의 색청적 역할
3.1 징의 배음분석 및 오방색에서의 역할
3.2 꽹과리의 배음분석 및 오방색에서의 역할
3.3 북의 배음분석 및 오방색에서의 역할
3.4 장구의 배음분석 및 오방색에서의 역할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