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회상요법을 통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through the Reminiscence Method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구진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through the reminiscence method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focusing on how to reduce depression scores of the elderly with the disease in S Day Care Center and improve their life quality. Only the patients who aged 65 and over in S Day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were qualified for the experiment and 10 of them
who have consented for the research were examin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July 8 to October 21, 2010 and the subjects took 15 sessions all together with one session per week. Each session took 60 minutes, held on Thursday in S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group art therapy through the reminiscence method influences the way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feel, the study used the paired t-test to analyze Korean aged depression measurement criterion and changes of their life quality standards. Based on results from the group therapy, the study could see that the therapy has significantly helped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S Day Care Center to improve their depression and life qual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through the reminiscence metho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depression and the life quality of the aged with dementia. In consequence, it is believed that the introduction of a program with the reminiscence method would be effective to enhance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with such disease.

한국어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S 주간보호센터 치매노인의 우울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S 주간보호센터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실시하였다.
서울 소재 S치매노인 주간보호센터 치매노인들 중에 65세 이상의 노인으로서 이 연구 참여에 동의한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7월 8일부터 10월 21일까지 진행하였고, 총15회기로 주 1회 실시하였으며 소요시간은 60분, 목요일에 S치매노인 주간보호센터에서 진행하였다.
회상요법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센터 치매노인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형 노인 우울 간이 척도, 삶의 질 척도 변화는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회상요법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S주간보호센터 치매노인의 우울, 삶의 질을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집단미술치료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치매노인들에게 회상요법 집단미술치료가 우울,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치매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회상요법을 통한 프로그램 도입을 적극 활용해 보는 것이 유익하다고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제한점
  4. 용어의 정의
 이론적 배경
  1. 회상요법
  2.치매의 임상적 특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분석방법
 연구결과
  1. 회상요법을 통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치매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변화
  2. 회상요법을 통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변화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구진경 Jin Kyoung Gu. ,B.L. Coaching Cente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