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동학의 발상지 구미용담과 수운의 경주

원문정보

Birthplace of Donghak Gumiyongdam and Gyeongju

성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general, Gyeongju is known as a capital of Shilla. But this means that Gyeongju is only a structure of thought in ancient times. Gyeongju not only is an ancient thought of shilla, but also it includes image of place of modern structure of thought. Starting point of modern Korea depends on the perspectives, but the standard is usually 1860s. The year of 1860 is when Donghak was started at Gyeongju. Donghak started on April 5th, 1860 and it let people realize that they are the subject of history. Donghak developed Donghak Peasants Revolution, one of the biggest incidents in Korean modern history and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biggest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So Gyeongju can be considered as a place where modern thought was formed.
Soowoon Jaewoo Choi started Donghak at Gyeongju Yongdamjung.
Jaewoo Choi’s grandfather Jongha Choi purchased Wonjukam and named it Waryongam, and Jaewoo Choi’s father Ok Choi restored Waryongam and named it Yongdamseosa. And Jaewoo Choi restored collapsed Yongdamseosa and named it Yongdamjung. Also Jaewoo Choi’s father Ok Choi called magnificent view of Gumi Mountain and Yongdam valley (Gumiyongdam) as “Yongdam 26 young” and praised them on his poem.
Soowoon Jaewoo Choi emphasized Gyeongju and Gumiyongdam as “capital during Gija” and “beautiful place among heaven and earth”. This means history and tradition of Gyeongju. Especially, the beautiful place (seongji) was the place to hide from war and hardship, but for Soowoon Jaewoo Choi, Gyeongju was the land of posterior great open thought that Donghak.
Moreover, Gyeongju and Gumiyongdam embodied images as the ideal of what Donghak pursues.

한국어

일반적으로 경주는 신라의 서울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는 경주를 고대의 사유체계만 머물게 하고 있다. 그렇지만 경주는 신라의 고대 사유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근대 사유체계를 여는 장소적 이미지를 함유하고 있다. 한국의 근대의 기점은 다양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1860년대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1860년은 바로 동학이 경주에서 창명된 해였다. 동학은 1860년 4월 5일 창명되어 민중을 역사의 주체로 인식케 하는 한편 한극근대사의 한 획을 긋는 동학혁명, 일제강점기 최대의 민족운동인 3ㆍ1운동을 주도적으로 전개하였다. 그런 점에서 경주는 근대사상의 형성지라고 할 수 있다.
수운 최제우가 동학을 창명한 곳은 경주 용담정이다. 용담정은 최제우의 조부인 최종하가 원적암을 매입하여 와룡암으로, 아버지 최옥은 와룡암을 복원하고 용담서사를, 그리고 최제우는 무너진 용담서사를 복원하여 용담정이라고 하였다. 또한 최제우의 아버지 최옥은 용담정을 둘러싸고 있는 구미산과 용담계곡(구미용담)의 절경을 ‘용담 26영’이라고 하여 로써 노래하였다.
수운 최제우는 경주와 구미용담을 ‘기자 때 왕도’이며 ‘일천지하 명승지’라고 강조하였다. 이는 경주의 역사성과 정통성을 의미하고 있다. 특히 승지는 전쟁이나 환란을 피하는 곳이지만, 수운 최제우에 있어서 경주는 동학을 창명하는 후천개벽의 땅이었다. 뿐만 아니라 경주와 구미용담은 동학이 추구하는 이상향으로서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용담정 건립과 용담 26영
 Ⅲ. 수운의 경주 인식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성주현 Sung, Ju-Hyeon.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참여자조사위원회 조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