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고려시대 사찰과 불교문화 - 비보사사와 그 문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uddhist Culture Reflected in Bibo temple during in the Goryo

황인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study the geomantic recruiting temples(Bibo temple 裨補寺社) as the reality of the national dominant ideology and existent idea in the view of nation-protecting place.
King Taejo(太祖), the founder of the Koryo Dynasty continued to work under the influence of ideology. His attitude toward Buddhism is best expressed by his Hunyo-sip-cho(訓要十條, Ten Injunctions.) The 2nd are tangible ways of getting that protecting power such as the injunction to build temples according to the advice of the Shilla monk, Toson(道詵, 809~898).
It is easily seen that King Taejo, in executing every national task, relied on the protecting power of the Buddhas, and emphasized greatly on the theory of Toson which had geomantic elements. Thus, the reason that the king built many temples was mainly to protect the nation.
In fact during the 25 years of his reign, King Taejo built about 3,000 structures, including doctrinal temples, big temples, meditation temples.
The attitude and policy of King Taejo toward Buddhism in the early years of the Koryo Dynasty determined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ter periods.
Especially, the Koryo kings set up various systems to safeguard the state-protecting role of Buddhism. One of these systems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Wangsa(王師), the Royal Preceptor, and the Kuksa(國師), the National Preceptor. In addition, there were numerous Buddhist activities and rituals such as Palgwanhoe(八關會), Yondunghoe(燃燈會), by the king on a national level, making these activities and rituals fixed annual activities.
The Koryo Dynasty emphasized greatly Palgwanhoe, Yondunghoe, by the king on a national level, making these activities and rituals fixed annual activities.
These trends were originated theme the dominated Buddhist and it’s society and culture. For examples, scholar student of Confucianism were educated by Sahaks; 12’th -Gongdo(公徒) They took a short lecture course during the summer at tepmples. It was called Hwakwa(夏課). One more special fact regard the Reading was these students had usually come and gone temples from childhood until Koryo dynasty.
And Study rooms(書齋) has been brought to my attention and a reading club like Haedonggirohae(海東耆老會) at Chiodang(崔讜)’s study room was remarkable. Scholar student of Confucianism were used to read by temple during Koryo dynasty.
And Confucian study room(書齋) functions as not only reading house, but also, first and most, the place of cultural interchange with the Buddhist Monks in study room. These tradition had been continued until Koryo dynasty and were became the Buddhist’s society and culture.

한국어

고려왕조는 왕사ㆍ국사제도를 운영하였고 승과제도 실시했다. 전국의 사찰을 비보사찰로 재배치하였고 진전사원을 세우고 국사ㆍ왕사제를 운영하였다. 비보사사는 태조 때 개경을 중심으로 하여 전국에 걸쳐 창건되었는데 대략 3,000개소에 이르고 있다. 역대 왕실에서는 개경이나 개경 부근에 진전사원을 창건하였다. 이와 같이 비보사사는 태조가 창건한 사찰과 진전사원이 포함되었으며, 이들 사찰을 지방제의 편성원리에 맞추어 산문중심으로 운영하였다.
국가에서 비보사사를 지정하여 부곡제인 村莊을 지배 또는 운영하였다. 사찰의 주지는 향리와 더불어 촌장을 지배 또는 운영하였을 것이다.
촌장에는 재가화상이나 수원승도가 있어서 국가에서 지정한 비보사사에 소속되어 국가의 공적인 일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란시 의승군으로 편성되어 의승군으로 활동하였고 국가의 공적인 일에 동원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국가적인 최고의 행사로 연등회와 팔관회를 개최하여 국민적 축제를 불교를 통해 문화의 꽃을 피웠다. 국가의 역사서적인 정사류의 보관장소인 사고 등이 설치되는 등 사찰이 국가 공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당시 사람들의 문화 중심센터로서 신앙결사는 물론이거니와 마을 공동체라고 할 결사체인 향도를 구성해 활동하였다. 문인 유생들은 최고의 사상이자 종교인 불교를 중심으로 유학과 도교적 소양도 겸비했다. 그리하여 관료 및 지식인들은 치국은 유교식으로 하였지만 퇴근후 사회와 가정에서는 불교의 가르침대로 살았다.
이렇듯 고려시대의 사찰은 문화적 중심센터였다. 교육의 주류를 담당했던 사학 12공도의 하과가 사찰이나 그 인근에서 실시되었다. 문인 유생들은 불교신행을 실천하는 거사로서 서재 혹은 사찰에서 독서를 하거나 독서모임이라고 할 해동기로회를 결성하면서도 사찰의 신앙결사에도 참여하는 등 불교 공동체문화를 전개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국가의 비보사사 운용
 Ⅲ. 사찰의 불교문화 전개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황인규 Hwang, In-Gyu. 동국대학교(서울캠퍼스) 역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