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사’ 문항 분석과 개선 방안-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n History Item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their improvement -Focusing on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강승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history test items as they apply to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find problems, and suggest better ideas for its improvement. Therefore, 140 items from the CSAT 2005 to 2011 are used as identifying subjects. In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how the tendency of history question items has changed in the context of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in 2005.
At first, there was a big change in the range of possible questions during the period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s applic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s application, as ‘History’ subjects and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ubjects were separated as elective courses, the range of possible questions was reduced to cover the post-Joseon Dynasty. However, there was widespread criticism of post-Joseon Dynasty sections being excluded. The Ministry of Education partly revised the curriculum and again included the post-Joseon Dynasty section in the ‘History’ subject in 2005. Since the CSAT 2009, question items from the post-Joseon Dynasty have been covered in the History section.
Secondly, a conclusion has been drawn by analysing the tendency of history question items using classification methods based on different periods and categories. The periodic tendency of setting questions is high in medieval and modern history, whereas prehistory and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ake up a smaller proportion. Especially, since the part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ch accounts for the biggest part in the history subject, is not considered much on the exam, we need to improve this part. If the proportion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question items cannot be increased, then the questions combining different eras can be an alternative.
As question items being classified into categories, political history has the largest share of all the question items, but the least in regards to social history. Particularly, when we analyze integrated questions, the question items lean too much toward political histor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is type of unequal distribution would make it hard to achieve a well-balanced evaluation, another improvement is needed.
Third, the analysis of history question items is being made according to the form of question items. As I looked through the standard forms of question items, the form for ‘choosing the correct answer’ comprises 35.71% of all questions, which is the largest, followed by the form for ‘choosing incorrect answers’ and the form for ‘choosing the best possible answer’ which account for 25.71%, respectively.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re were too many incorrect answer choices in 2008. As this form can lead students to simple errors in judgement, it is not appropriate for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However, these types of question items have been reduced since 2008 and it was possible to ascertain that the trend is headed in a good direction.
Of the materials used as presented articles, most items were taken from text materials and the percentage of utilizing the first and second historical records was over 50%. However, items taken from non-text materials are reduced when compared to the past. Since there are lots of non-text materials presented in textbooks, it can be suggested to use mixed materials as an alternative.
Finally, from the analysis of answer choices, questions inquiring the assessment and inference of materials, and setting up research and subject areas are reduced, while questions inquiring about the knowledge of historical events and facts are increased.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original intent of the CSAT,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questions inquiring areas about the assessment and inference of the materials, and setting up research and subject areas are needed.
The tendency of CSAT questions greatly affects many high school history classes. Therefore, the items on the CSAT should be taken in the direction of supporting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한국어

본고는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시기의 국사 문항을 분석해 출제 경향을 정리하고 그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에 2005학년도부터 2011학년도까지 7개년 간 출제된 140문항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특히 2005년 제7차 교육과정 부분 개정을 전후하여 국사 문항의 출제 경향을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제7차 교육과정 적용기의 수능에서는 국사 과목의 출제 범위에 변화가 있었다. 제7차 교육과정 적용 초기에는 국사와 한국 근ㆍ현대사가 선택과목으로 분리되면서 국사의 출제 범위가 조선후기까지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국사 과목에 근ㆍ현대사 부분이 제외된 것에 대한 사회적 비판과 우려가 잇따르면서, 교육부는 2005년에 교육과정을 부분 개정하여, 국사 과목에 근ㆍ현대사 부분을 포함시켰다.
이에 따라 2009학년도 수능부터는 국사의 출제 범위가 확대되어 근ㆍ현대사 문항이 출제되기 시작하였다.
둘째, 국사 문항의 시대별, 분류사별 출제 경향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시대별 출제 경향은 중세와 근세 문항의 출제 비중이 높은 반면, 선사시대와 근ㆍ현대 문항의 출제 비중이 낮았다. 특히 근ㆍ현대사는 교과서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출제 비중이 낮게 유지되는 것은 개선이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근ㆍ현대 문항의 비중을 늘리기 어렵다면, 시대 통합 문항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분류사별로 문항을 분류해보면, 정치사 문항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사회사 문항이 가장 적게 출제되었다. 특히 분야 통합 문항을 분석해보면, 정치사 문항의 편중 현상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특정 분야에 치중된 문항이 많아지면 균형 잡힌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에서, 정치사 중심의 문항 출제에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문항 구성 요소에 따라 국사 문항을 분석해 보았다. 문항형식을 기준으로 보면, 정답형 문항이 35.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뒤를 이어 부정형과 합답형 문항이 각각 25.71%를 차지하였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2008학년도 이전에는 부정형 문항이 지나치게 많다는 점이다. 부정형 문항은 응시자의 단순 착오로 평가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만 2008학년도 이후에는 부정형 문항이 차츰 감소하고 있어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시문으로 활용되는 자료는 대부분의 문항이 문자자료를 활용해 출제되었는데, 1, 2차 사료를 활용한 문항 비중이 50%를 넘을 정도였다. 그러나 비문자 자료를 활용한 문항은 출제 문항 수가 예전에 비해 크게 줄었다. 교과서에는 상당한 양이 비문자 자료가 제시되어 있는 만큼,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복합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답지 구성을 분석해 보면, 자료의 분석과 추론, 탐구활동 및 주제설정을 요구하는 문항의 비중이 감소하고 역사적 사건과 사실에 대한 지식을 묻는 문항이 증가되고 있다. 사고력 측정이라는 수능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기 위해서 자료의 분석과 추론, 탐구활동이나 주제설정 등을 요구하는 문항의 비중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능의 출제 경향은 고등학교 국사 수업에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수능 문항은 학교의 수업 현장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제7차 교육과정과 수능 ‘국사’ 과목의 변화
 Ⅲ. 제7차 교육과정 적용기의 수능 ‘국사’ 문항 분석과 개선 방안
  1. 시대별ㆍ분류사별 출제 경향
  2. 문항 구성 요소에 따른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강승호 Kang, Seung-Ho. 과천외국어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