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제7차 교육과정 『국사』교과서의 분류사 체제 검토 -‘고대사’ 단원의 정치사와 경제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the ancient history in textbooks of Korea History for highschool

방대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and revise the defective parts of the existing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finally provide a next-curriculum authors a guideline or a framework of subject-based textbook writing.
To write this thesis, I have examined and analyzed the ancient history and the three Kingdom period from all high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issued during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main is the style of historic writing and its contents. I’ve found out almost all Korean history textbooks in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were written chronologically, but there was a big change in the 7th curriculum. The guidelines given by government required the textbook authors to describe Korean history in a different perspective not based on chronology but classification, they wrote the subject-based Korean history. The theme-based or subject-based writing itself is significant but it has a problem. That means the authors just rearranged the contents of the 6th curriculum history textbooks. Their books were subject-based but still chronological.
Through this thesis, I will make some suggestions how to write a Korean history textbook on subject-based description. To establish a right framework of thematically organized history textbooks, the author should classify korean history into four categories or more; political history, economic history, social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The writer should choose major themes relevant to the category. The themes are classified into many topics that are covered during class. In each chapter or unit, the author organize the textbooks in order not only to provide the sequence of events in textual documents but also show the way of investigating objectively the patterns of cause and effect that determine events. At the end of the chapter, the author should develop high quality questions and activities that practice students’ own historical perspective. Learning history shows its real worth when students can get a valuable lesson from interpreting the past properly.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고등학교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고 7차 국사 교과서가 표방하고 있는 분류사 체제가 제대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한 뒤, 앞으로의 국사교과서 개편 서술에 대한 시사와 새로운 방향 제시를 위한 자료의 일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행 국사 교과서의 고대사 분야에서 정치사 분야와 분류사 분야를 검토해 본 결과 현행 7차 고등학교 국사교과서는 불완전한 분류사 체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현행 국사교과서가 이전 6차 교육과정 하에서 편찬된 국사 교과서와 달리 분류사 체제로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서술 내용에 있어서는 이전 국사교과서의 기계적인 재구성에 머물고 있다. 물론 대단원 도입부에 있는 ‘단원의 길잡이’에서 각 분류사의 의미와 함께 서술 방향을 제시한 것은 좋았으나 본문 내용에 이러한 각 분류사의 서술방향을 제대로 구현해내지 못하였다. 특히 고대사 단원의 서술 체제와 분류사별 내용을 분석하면서 이러한 내용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제대로 된 분류사 체제를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전반적인 서술 체제와 내용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우선 분류사 속에 또 다른 분류사를 상정해서 체계적으로 서술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학생들은 각 주제를 기준으로 역사의 발전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정치사의 경우 정치사 단원의 길잡이에서 정치사에 대한 개념과 서술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근거하여 본문 내용을 정치 세력, 정치 구조, 정치 운영, 정치 운영론 둥과 같은 핵심 주제를 상정하여 그 주제 안에서 통시대적으로 서술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제사의 경우 대단원 도입부에 있는 경제사 단원의 길잡이를 통해 경제사의 개념과 경제 활동에 대한 개관을 한 후, 본문에서는 농업 생산력, 토지 제도, 수취 제도, 상공업, 대외무역 등을 항목으로 정한 다음 서술 내용도 이 항목에 맞추어 통시대적으로 서술해야 할 것이다.
국사교과서 서술이 제대로 된 분류사 서술을 하기 위한 궁극적인 방향은 모든 단원에 똑같이 적용되는 획일적인 체제를 지양하고 각 단원의 성격과 특색에 따라 다양한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많은 역사적 사실들을 간략하게나마 빠짐없이 다루겠다는 지금까지의 생각을 과감하게 포기하고 각 분류사별 특징에 맞는 다양한 서술 원칙을 살려서 꼭 필요한 핵심 주제들을 체계적이고 깊이 있게 취급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우리 민족의 활동상을 분야별로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역사상 중요한 문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고 사고하게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분류사별 내용 검토
  1. 정치사 서술 분석
  2. 경제사 서술 분석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방대광 Bang, Dae-Gwang. 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교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역사교육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