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국내 조선족 동포의 인구 문제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ethnic Koreans in contemporary Korea

김인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ethnic Koreans living in Korea(chosun tribe). This study may be contribute to welfare of ethnic Koreans and to raising his Korean identity. Population of ethnic Korean population decreased greatly in China in the last 10 years.
This phenomenon says to decrease invisible assets abroad in Korea. And It will interfere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 economy. Also It means that lose supporter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The following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ethnic Koreans. First, ethnic Koreans are increasing in Korea. This phenomenon is opposite to ethnic Koreans marrige reduction in China. Especially more than 30% of all marriages in Korea carried out with ethnic Koreans. After this marriage increased, too many children were born between korean and ethnic Koreans. Second, education level of employed domestic ethnic Koreans were leveled down. There is no professional jobs. Most people are employed in the service. Employment structure of ethnic Koreans seems to look really simple.
Third, the mostly residential areas of ethnic Koreans were concentr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they did not live a little in local Industrial Complex as Busan, Daegu and Ulsan. Also ethnic Koreans technician did not live in the rural provinces.
Fourth, the average age of ethnic Koreans have been rising dramatically. Previously, the high school level of education were 20s' men and women. But now, 30s’ men and 30s’ women group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short, ethnic Koreans is the potential support for Korea society. Furthermore, in the future, they will be recognized as another Korean member. Blind nationalism is very dangerous.

한국어

중국내 조선족 인구는 지난 10년 동안 크게 인구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보이지 않는 해외 자산이 급감한다는 사실의 반증이며, 앞으로 한국경제의 대외적 확산이나 한국 사회의 세계화 과정에서 중요한 지원세력을 잃는다는 의미이다.
그런 의미에서 연구를 통해서 밝힌 국내 조선족 인구의 사회적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조선족 인구는 중국내 조선족 인구의 정체와는 달리 급증하며, 특히 한국 내 전체 결혼 중에서 조선족과의 결혼이 30% 이상을 점한다. 또한 결혼 후 자녀의 수도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국내에 취업한 조선족의 학력이 전반적으로 하향 평준화하거나 직업도 고급 전문직보다는 서비스업에 집중하고 있다. 그만큼 취업선이 다변화되거나 고급화되지 못하다. 셋째, 거주지역이 경기와 서울에 집중되고, 공단 지역인 부산ㆍ대구ㆍ울산에는 거의 거주하지 않는다. 즉, 조선족 기능 인력이 지방으로 진출하지 못했다. 넷째, 국내 거주 조선족의 평균연령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이전에는 고등학교 학력 수준의 20대 남성과 여성이 많았다. 그러나 이제는 30대 남성과 30대 여성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조선족 처우에 관한 몇 가지 정책적 개선사항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주 연변 지역 등 현지에서 직접 공장을 설립하고 거기서 직접 기능 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거시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 기능직 혹은 기술직 취업에 기여할 실업 교육 기관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에 진출한 조선족이 한국인과 효과적으로 경쟁하는데 기여할 각종 기술과 기능의 함양과 표준화의 기회를 부여한다. 특히 지방자치체에 의한 조선족 취업기구와 기능 실습 교육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제결혼에서 조선족과 결혼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조선족 중 가임기 혹은 결혼기 조선족을 대상으로 하여 결혼과 자녀 양육에 필요한 복지 시설을 증설함으로써 조선족 2세 혹은 젊은 남녀가 한국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요컨대, 조선족이 한국사회의 잠재적 지원세력이라는 인식에서 한발 나아가 미래 또 다른 모습의 한국인이라는 생각을 다질 필요가 있다. 그저 맹목적인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어떻게 그들의 정체성을 한국인의 그것으로 바꿀 것인가? 혹은 그들에게 무엇을 던져 줄 것인가? 하는 자세보다는 그들이 우리 삶에게 얼마나 소중한 역할과 기여를 하고 있는지 먼저 이해하고 인정해야 한다. 그러한 선결조건 위에 한국에서 뿌리를 내리고 싶은 욕망이 넘치도록 철저한 기술기능교육과 결혼 양육 방면에서의 한국인에 버금가는 지원 등이 이뤄져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그들 속에서 사라지는 자아 정체성의 회복과 함께 조국과의 연대하려는 의식이 촉발되고, 또 다른 한국인으로 자신의 삶에 자부심을 가지는 존재로 성장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 교포 인구의 동태
  1. 해외 교포인구의 현재
  2. 중국내 조선족의 현황
 Ⅲ. 국내 조선족 인구의 사회적 특성
  1. 조선족 비정주 인구 증가
  2. 학력과 직업의 하향
  3. 도시, 수도권으로의 밀집
  4. 자녀 증가와 거주 연령의 상승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호 Kim, In-Ho. 동의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