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동학의 개벽사상과 역사의식4

원문정보

Ideas Revolution of Donghak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정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pening of the World in Donghak thought generally is not eschatology which is new world is separate from any existing world and not reformation of disposition or circular reasoning of Confucianism. But it means reformation of existing world. Existing world is not to destroy but converse it progressive.
So reformation of humane and world would expect the works to be contemporary. To reform the existing world is make world more better and endless change.
The thought of opening of the world in Donghak comes to the Chondokyo Lee Don-hwa, it is expressed by three leading creation theory. Also Kim Ki -Jeon express his thought by construction of daily consciousness. These are to denote of reorganization of world order. Humane reform and world reform is not able to separate each other. Suun said that If we want to reform the world we should practice our mind. Practicing of mind is for Hanulnim. Because if we integrate our Hanul we can reform the world. We able to be oneness and We can integrate Hanulnim by practice of mind study- three respect, magic chanting of 21 letters, pray to mind.
The original form and Donghak’s of the thoughts of opening of the world was reformation of universe.

한국어

수운은 서세동점의 위기와 낡은 성리학적 질서 속에서 역사의 변화하여가는 방향을 헤아려 이를 실천했던 역사의식의 소유자이다. 그는 이를 후천개벽이라 명명하였는데 개벽은 일시적으로 끝나거나 종착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순간에서 그리고 모든 사회에서 지속되는 현상이다.
개벽이라는 말은 유가에서 나온 말로 ‘하늘이 열리고 땅이 열리는 開天闢地’로부터 나왔다. 그러나 유가의 개천벽지는 천지가 생겼다는 의미정도로 한정되지만 수운에게 있어 개벽은 천인합일적 인내천의 인간에 의해서 다시 이루어질 개벽이었다. 기존연구에 의하면 동학의 개벽사상은 선천의 기존 세계가 종말을 고하고 후천의 신세계가 열리는 것으로 이해되거나 또는 인간 내면의 심학적 개벽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또한 소옹의 원회운세설이나 유가적 순환론과 관련하여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울의 인간이해를 통해 동학의 개벽사상을 종말론이나 인심개벽적 접근보다는 현세사상이자 변혁사상으로서 인간 변혁과 세계의 변혁이 동시적이며 현재를 보다 향상된 단계를 진보시키는 생명공동체적 역사의식에 기초하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돈화와 김기전은 각각 ‘3대개벽론’과 ‘일상의식의 건축’을 통해 우주와 자연, 사회를 한 몸으로 하는 무궁한 생명성의 진보적 창조를 개벽으로 의미짓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동학ㆍ천도교의 개벽사상 이해
  1. 수운의 시대의식과 역사의식
  2. 일상과 현실의 변화로서의 개벽
  3. 천지개벽은 나의 개벽
  4. 이돈화의 3대 개벽
  5. 한울인격 형성과 창조적 진보활동으로서 개벽
 Ⅲ. 김기전의 개벽사상과 역사의식 교육
  1. 김기전의 인간ㆍ역사이해
  2. 사회ㆍ역사적 통유성과 인간의 특수성
  3. 일상행위에의 몰입과 역사비판의식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정혜정 Jung, Hye-jung. 인천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