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원주지역 동학농민혁명의 배경

원문정보

Backgroun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Wonju Area

성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Wonju, a popular uprising occurred in 1885, which is relatively early. Cause of the popular uprising in Wonju was abuse of Hwangok (grain loan), one of the Sam-jeong(三政). Hwan-gok(還穀), originally part of measures to relieve peasants and secure military resources, became a tax in the late Chosun period and became posed the biggest social problem in the 18th to 19th Century. This is shown by the fact that the prevailing cause of peasant uprising of that era was none other than the problem of Hwangok. Wonju Popular Uprising, which began as a petition, was intended to correct the abuses of Hwangok. However, petty officials at the taxation warehouses who caused the problems in the first place infuriated the peasants by verbal abuse, leading to loss of lives and injuries. Wonju Popular Uprising started at Buk‐chang (north warehouse) and expanded to Young‐chang(營倉) and Sa‐chang(社倉) by participation of local inhabitants. And local gentries joined uprising in the process. Thus, Wonju Popular Uprising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uprisings which occurred after the opening of ports to outside world, and became the precursor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Donghak organization in Wonju had assumed central position in Donghak of Gangwon province in the 1890s, and later played a major role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Gangwon province had already been a center of Donghak since the Donghak Founder Rehabilitation Movement(敎祖伸寃運動) in Younghae by Lee, Pil‐Jae in 1871. And in the Gangwon province, Wonju became the center of Donghak in the 1890s and about 200 Donghak members from Wonju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and Anti‐West Resistance Movement(斥倭洋倡義運動) in Boeun in 1893. This means that Wonju Jeop(原州接) was the core of Donghak organization in Gangwon province. As a result, Lee, Won‐Pal, the head of Wonju Jeop, could be appointed by Choi, Si‐Hyeong as Chief Head of Jeop, Gwandong Po. And Do-so(都所) were established in Hongcheon and Inje, which belonged to the jurisdiction of Wonju Jeop. Thus, Lee, Hwa‐Gyung, Lim, Soon‐Hwa and others of Wonju led uprising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fter September of 1894, and joined the anti‐feudalism and anti‐foreign power struggles by solidarity with Cha Ki‐Seok of Hongcheon. And Lee, Won‐Pal, under Choi, Si‐Hyeong’s order of uprising, joined the main forces of Donghak at Cheongsan Munbawigol, passed through Gongju Ugeumchi, and participated in Yongsan Battle in Youngdong and Jonggok Battle in Boeun.
In conclusion, the deepening social illness, abuse of Hwangok, and the resulting experience of peasant uprising were combined with the anti‐feudalism and anti‐foreign power stand of Donghak to form the backgroun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Wonju area.

한국어

原州는 비교적 이른 시기인 1885년에 民亂이 일어났다. 원주민란의 원인은 三政의 하나인 還穀의 폐해에서 비롯되었다. 원래 농민의 賑恤과 軍資確保策의 하나였던 환곡은 조선후기 들어 稅制化되면서 18-19세기에 이르러 최대의 사회문제가 되었다. 농민항쟁의 시기 그 원인의 대부분이 바로 환곡의 폐단이었던 데에서도 알 수 있다. 초기에는 呈訴活動으로 시작한 원주민란은 환곡 폐단의 바로잡고자 하였다. 그러나 폐단의 원인을 제공하였던 창고의 色吏들이 오히려 폭언으로 농민을 분노케 하였고 결국 殺傷으로 이어졌다. 北倉에서 시작된 원주민란은 營倉, 社倉의 면민들이 참여함으로써 확대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역 士族들이 참여였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원주민란은 개항 이후 전개된 민란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학농민혁명의 전제조건이 될 수 있었다.
한편 원주지역의 동학조직은 1890년대 들어 강원도 동학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고, 이후 동학농민혁명의 중요 무대로 활동할 수 있었다. 강원도는 1871년 이필제의 寧海敎祖伸寃運動 이후 동학의 중심무대였다. 그 가운데서도 원주는 1890년대 이후 강원도 동학의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며, 1893년 報恩에서 전개된 斥倭洋倡義運動에 2백여 명이 참여하였다.
이는 原州接이 강원도 동학 조직의 중심이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원주 접의 대표자인 이원팔은 해월 최시형으로부터 관동포 대접주로 임명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관내인 홍천과 인제에 도소를 설치되었다. 이로써 원주는 1894년 9월 이후 동학농민혁명의 이화경, 임순화 등이 기포하였고 홍천의 차기석과 연대하여 반봉건 반외세의 투쟁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이원팔은 해월 최시형이 기포령에 따라 청산 문바위골에서 동학군 본류에 합류하여 공주 우금치를 거쳐 영동의 용산전투, 보은의 종곡전투에 참여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모순의 심화, 환곡의 폐단과 이를 통한 농민항쟁의 경험, 그리고 반봉건과 반외세를 기치로 한 동학과 결합은 원주지역 동학농민혁명의 배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한말 원주지역 향촌사회의 동향-‘원주민란’을 중심으로
 Ⅲ. 동학의 포교와 원주의 동학 조직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성주현 Sung, Ju-Hyun. 한양사이버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