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세 일본 여성의 신분별 두발형태와 조형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Exploration on Hairstyle of Modern Japanese Women and Their Figurative Qualities According to Social Standings

박옥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figurative qualities shown from hairstyle of Japanese women in the Edo period according to the irrespective social standings, by focusing on its formative aspects. What could be seen as figuratively characteristic in Japanese women’s hairstyle of Edo period reveals two distinctive phases of the tendency as follows: There tends to be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s aesthetics and symbolicality women’s hairstyle implies in parallel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ocial standings. In the case of gong-ga(公家) and mu-ga(武家), for example, their nobility and authority tend to be revealed via accessories and suihatsu(垂髮) and the increase in their social standings via mage(髷). From female public servants(女官) tend to be distinctively shown the duplicable and contingent qualities. In the case of yu-nyeo(遊女), karawamage(唐輪髷) tends to describe well a unprecedentedly distinctive contingent style by cutting the frontal hair and giving it a twist in the former part of the Edo period. In the middle period, mage,dabo and bin, all of which are shaped in different forms respectively, demonstrate unique image of ditemi(伊達美) by means of accessories. And there tends to emerge gradually akimi(粹美) that places an emphasis more on stylish beauty in the latter period. It is revealed that chonin(町人) as working class tend to emphasize the convenience and naturalness in the everyday life rather than the artificiality. Given their low social status in the then period, chonin showed their mobility and personality through hairstyle. And it is quite distinctive to see their desire to raise the social status emerge by imitating the hairstyle of the upper class.

한국어

본 연구는 에도시대 신분별 여성의 두발형태에 나타난 조형성의 개념을 형태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연 구한 것이다. 에도시대 여성의 머리형태의 조형적인 특징은 전기에는 다보(髱)의 후두부 머리 다발을 정수리로 올려 빗어 묶은 후 빈(鬢)의 양쪽에 걸친 머리 다발을 사선으로 비스듬히 빗겨 후두부 머리 다발 위로 함께 묶었다. 중기에는 후 두부에 있는 머리다발인 다보가 두상에 달라 붙듯이 빗질되어 있고 옆머리인 빈(鬢)에 부피감을 주어 목덜미와 어깨 선에서 드러나 는 곡선과 조화되어 여성의 아름다움을 더해 주는 조형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두발형태는 신분에 따라 나타나는 미의식과 상징성이 차이가 있었다. 공가나 무가의 경우 장신구와 스이하츠 (垂髮)에 의해 권위나 위엄과 마게(髷)를 통한 신분 상징성이 나타났고, 여관(女官)의 경우 모방성과 임시성의 머리형 태가 두드러졌 다. 유녀(遊女)의 초기 두발형태인 가라와마게(唐輪髷)는 앞머리를 짧게 자르고 컬을 만들어 이전까지 보이지 않 았던 의외성 의 스타일을 잘 표현하고 있고, 중기에는 마게, 다보, 빈이 각기 다른 모양으로 조형되어 각각의 특징을 장신 구를 통해 독특한 이미지의 다테미를 나타내었다. 후기로 갈수록 세련된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이키미가 잘 나타나 고 있다. 서민신분인 쵸닌(町人)은 기교를 부리지 않고, 일상생활에 편리성과 자연미가 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쵸닌은 신분의 특성상 활동성과 개성을 두발형태를 통해 나타내었고, 신분상승의 욕구가 귀족의 두발형태를 모방하면서 나타난 것이 눈에 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에도시대 신분 제도
  2.2 에도시대 조형의 특성
 3. 근세 일본 여성의 신분별 두발형태와 조형성
  3.1 공가와 무가
  3.2 여관(女官)
  3.3 유녀
  3.4 일반서민
 4. 결론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박옥련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