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나쓰메 소세키의『산시로』와 염상섭의『만세전』비교 연구 ― 기차 안 승객의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mparative Study of ‘Sansiro’ by Natsume Soseki and ‘Mansejeon’ by Sang-Seop Yeom -Focused on the Passengers’ Perceptions of Reality on the Train-

權赫建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looked over the meaning of the train having been developed and used as the means of modernization, and passengers’ perceptions of reality on the train. The ‘train’ shows modern people in Korea and Japan the power of western civilization in the beginning of modernization, and as a representative of twentieth century civilization as well as meaning which makes people feel the impact of the reality of enlightenment. Soseki described ‘train’ as ‘a long snake’ which represents a civilization in his work ‘ Kusamakura’, and Sang–Seop Yeom reflected a gloomy picture of the Joseon period during the Japanese Ruling through the train passengers’ various lives in his work ‘Mansejeion.’ Hirota teacher in ‘Sansiro’ declared his worries about that Japan’s modernization was done rapidly from adopting western culture and civilization, and is also warning that modern civilization based on the western scientific experiment not only has rationality and convenience, but also contains dangerousness. By contrast, gat-seller(gat: Korean traditional hat) in the ‘Mansejeon’ shows that modernization of the Joseon period was made up by Japan-concretely by the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not by the West, and that even though Joseon people used trains representing modern civilization offered by Japan, it is difficult to find their consciousness being thankful to Japan for that. The Joseon People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y would rather resist, not submit, to the violence modernization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at made a mass grave law and pushed for it without understanding well about the funeral institution culture including burial custom and cemetery preservation in the Joseon period. Therefore, the ‘Sansiro’ and ‘Mansejeon’ are judged to have some voice messages from the two authors, Soseki and Sang-Seop Yeom, who are the representatives of the modern literature in Korea and Japan and are worrying, blaming, concerning, and warning about the reality of the radical modernization that people tried to achieve, presenting the catchphrase, ‘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소세키의『산시로』와 염상섭의 『만세전』을 비교하여 근대화 수단으로 이용되고 발전되어 온 기차의 의미, 두 작품의 주인공들이 관찰한 기차내 승객들의 현실 인식을 살펴보았다. 근대화가 시작되는 시대에 한국과 일본의 근대인들에게 기차는 서양문명의 위력을 보여주고, 20세기 문명을 대표하는 것으로 개화의 실상을 피부로 느끼게 하는 의미를 갖고 있었다. 소세키는 『풀베개』에서 기차를 문명이라는 긴 뱀으로 묘사했으며, 염상섭은 『만세전』에서 기차 안 승객들의 다양하게 살아가는 삶의 모습을 통해 일제강점기 조선의 무겁고 어두운 현실을 투영시켰다.『산시로』의 히로타 선생은 일본의 근대화가 서양으로부터 문화ㆍ문명섭취에 아래 급진적으로 이루어 지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서양의 과학실험을 바탕으로 하는 근대문명에는 합리성과 편리함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경고하고 있다. 그에 반해 『만세전』의 갓장수는 조선의 근대화는 서양이 아니라 일본, 구체적으로는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고, 조선인들이 일본인들이 개설해 놓은 근대문명을 상징하는 기차 등을 이용은 하고 있지만 일본인들에게 고맙게 생각하는 의식은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조선 민중들의 생사장제의 고유한 문화와 매장관습, 묘지보존문화 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공동묘지법을 만들어 밀어붙이는 조선총독부의 폭력적 근대화 정책 등에 굴종하지 않고 저항하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결국 『산시로』와 『만세전』에는 한ㆍ일 근대문학을 대표하는 소세키와 염상섭 두 작가가 요란스럽게 문명개화라는 캐치프레이즈(catchphrase)로 내 걸고 성취해 내려고 하는 급진적인 근대화의 현실에 대해 고민(苦悶)ㆍ한탄(恨歎)ㆍ우려 (憂慮)ㆍ경고(警告)하는 육성(肉聲) 메시지가 담겨져 있다고 판단된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기차의 의미
 4. 『산시로』에 나타난 히로타 선생의 현실 인식
 5. 『만세전』에 나타난 갓장수의 현실 인식
 6. 결론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權赫建 권혁건. 東義大學校 日語日文學科 敎授, 日本近現代文學 專攻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