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라타 햐쿠조(倉田百三)의 『출가와 그 제자』에 관하여

원문정보

A study on Kurata hyakuzo's "The Priest and his disciples"

진명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iest and his disciples" Kamakura in the Pure Land jinjong the founder sinran and his disciples yuyien plays with the story great uncle of the traditional church by appearing in th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interests and concerns of the public viewing points, which led to the Meiji days after the assessment has been called the largest religious literature. First, the writers in the prelude to the world of obsession and aeyok Sabah and fret about it, and the flesh of diseased sidalrim, present fear of death, and then love and innocence to the end of the bones are depicted. This is the life of the artist as his lungs started to reflect the life-long sickness and death, yet troubled young age aeyok and fret not forget the purity of its importance in the projection of his own work would be. ""The Priest and his disciples "Memories" to "a lifetime genuine and idealism want to lose her is," said as a pure young age experience, if not pure old age can not send that expresses and works sure that everyone that reads your mind pure, and to enrich and to pursue it at a moment's notice to have the feelings you think are the author's intentions. The writer in his pursuit of a pure heart, in this work in classical Japanese tradition with the modern era in the sinranyigie earlier as part of a complex reality, and people living in the agony a human on the inside than the outside serves to emphasize that strive towards think that is represented by.

한국어

『출가와 그 제자』는 가마쿠라시대(鎌倉時代)에 정토진종(浄土真宗)을 창시한 신란(親鸞)과 그 제자 유이엔(唯圓)과의 일화를 그린 희곡(戱曲)으로 전통적인 교단의 종조(宗祖)를 문학작품에 등장시켜 일반인의 감상에 맞추어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낸 점에서 메이지(明治)시대 이후 최대의 종교문학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작가는 서곡에서 먼저 이 사바세계에 대한 집착과 애욕과 그에 대한 번민, 그리고 병든 육체의 시달림, 죽음에 대한 두려움 등을 제시하고 나서 사랑의 본의와 순수함을 마지막까지 그려내고 있다. 이것은 작가 자신의 삶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일생동안 폐결핵으로 시작된 병마와 죽음, 애욕과 번민에 괴로워하면서도 청년시대의 순수함을 잊지 않고 그 소중함을 자신의 작품에 투영한 것이다. 「『출가와 그 제자』의 추억」에서 ‘일생동안 순정(純情)과 이상주의(理想主義)를 잃고 싶지 않다’고 말하고 있듯이 순수한 청년시대를 경험하지 않으면 순수한 노년기를 보낼 수 없다는 것을 피력하고 작품을 읽는 모든 사람들에게 꼭 그 마음을 순수하게하고 윤택하게 하고 당장이라도 그것을 추구하는 감정을 가지게 하는데 작가의 의도가 있다고 생각된다. 작가는 자신이 추구한 순수한 마음으로 이 작품에서 일본의 전통과 함께 고전 속에 있는 신란이기에 앞서 근대라는 시대의 한 일원으로서 복잡한 현실에서 번민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외면보다 인간 내면을 지향해야 함을 강조하는 역할로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목차

1. 서론
 2. 작품의 배경
 3. 순수함과 눈물의 의미
 4. 응보와 사랑의 진의(眞意)
 5. 결론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진명순 영산대학교 외국어대학 일어학과 교수. 일본근대문학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