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산불 초기진화 행동매뉴얼 체계화 방안 - 경상북도 119안전센터 소방대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nstruction Plan of Fire Fighter Conduct Manual on Forest Fire Initial Attack - Case Study on Fire Fighter of 119 Safty Center In Gyeongbuk Province -

배진국, 이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the summary of literatures on the forest fire management was conducted as the disaster management process that was divided into mitigation phase, preparedness phase, response phase, recovery phase that was linked to the forest fire prevention process that was made up of the forest fire prevention activities, the prepared activities for extinguishing of the forest fire, the forest fire protection, the confrontation activities for extinguishing of the forest fire and the control and recovery. Also, the forest fire manual was focused on the enumerating explanation so the use couldn't know the mission clearly and couldn't find the manual easily. Therefore, this paper was based on plan of ground fire fighter conduct manual focusing on task of national forest office, linked to the helicopters that conducting the most critical role in extinguishing the forest fire, combined Emergency Rescue in initial attacking fire station with forest public officer, arranged for incident commander or ground fire fighter duties from the 1st stage of acceptance of forest fire to the 10th stage of withdraw. this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very awareness of the crews and therefore of fire reduction of damage of lives, properties and forest through systematic and rapid response to forest fire.

한국어

본 논문은 완화단계(mitigation phase), 준비계획단계(preparedness phase), 응급대응단계(response phase), 복구단계(recovery phase) 등 4단계로 구분하고 있는 재난관리 과정에 산불예방활동, 산불진화준비활동, 산불방지활동과정, 산불진화대응활동, 수습 및 복구활동의 산불방지활동과정과 연계를 통한 산불재난관리에 대한 문헌정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현행 소방관서의 나열식 설명 위주의 산불관련 매뉴얼이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임무를 명확히 알 수 없고 또한 손쉽게 찾아볼 수 없는 단점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기 구축된 산림청 국유림관리소 지상진화대원 업무 중심의 산불현장 지상진화 행동매뉴얼을 바탕으로 하여 산불진화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진화헬기와 연계하고, 산림부서와 함께 출동하는 소방관서의 긴급구조통제단운영을 조합하여 소방관서 현장진화 지휘자 또는 담당자의 임무를 산불대응 단계에 따라 제1단계인 산불접수단계에서 10단계 철수단계에 이르기 까지 총 10단계로 구별하여 정리하였으며, 평상시 이를 숙지하여 진화대원의 안전은 물론이고 체계적이고 신속한 현장 대응을 통해 산불로부터 인명, 재산피해 및 산림피해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1. 산불발생요인
  2. 산불진화 단계분류
  3. 산불진화 행동매뉴얼 관련 선행연구
 Ⅲ. 산불진화관리 현황 및 현행 행동메뉴얼의 문제점 진단
  1. 현행 산불현장 지휘체계
  2. 현행 산불 진화조직
  3. 현행 산불진화 행동메뉴얼의 문제점 진단
 Ⅳ. 산불 초기진화 행동매뉴얼 체계화 방안
  1. 매뉴얼의 적용범위
  2. 단계별 산불 지상진화 매뉴얼 구성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배진국 Jin Kook Bae. 구미소방서
  • 이시영 Si Young Lee.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방재전문대학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