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경찰·소방 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PTSD of Policeman and Firefighters

이희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level of posttraumatic PTSD of policemen and firefighters who are working under risky environment, which stress economic profit and development rather than safety and protection, is incredibly high. If PTSD is managed adequately, police organization and fire protection organizations can attain their goals and even make advancements in their performances, Moreover, if the posttraumatic stress is not managed adequately, it could decrease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veing and increas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potentially leadeing to become a harmful impediment in the performance of their organizations. Therefore, the author studies to compare the impact-relationship mechanism among posttraumatic PTS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in the case of policemen and firefighters working in Koran police stations and fire stations.

한국어

이 연구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경찰공무원이 직무수행 중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정도는 침습이 1.88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과각성이 1.7531, 회피가 1.7221 순으로 나타났다. PTSD 절단점인 24/25점을 기준으로 류하면, 24명(25.5%)이 PTSD 진단 집단에 속한다. 또한 14명(14.8%)이 부분 PTSD에 분류되므로, 전체 조사대상자 중 36명(38.2%)이 부분 PTSD 이상의 증상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방공무원이 직무수행 중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정도는 침습이 1.992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과각성이 1.8233, 회피가 1.7996 순으로 나타났다. PTSD 절단점인 24/25점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27명(30.6%)이 PTSD 진단 집단에 속한다. 또한 18명(20.5%)이 부분 PTSD에 분류되므로, 전체 조사대상자 중 45명(51.1%)이 부분 PTSD 이상의 증상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1. 경찰과 소방 직무의 특성
  2. 외상사건의 개념
  3. 외상후 스트레스의 의의
  4.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의 설계
  1. 연구의 대상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 연구의 방법
 Ⅳ. 조사결과의 분석 및 논의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정도
  3.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정도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희선 Hee Sun Lee. 중부대학교 경찰법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