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 前期 政治文化에 나타난 公論의 의미 고찰

원문정보

A Consideration on the Meaning of Public Opinion Appeared in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Early Joseon Period

조선 전기 정치문화에 나타난 공론의 의미 고찰

金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public opinion politics which appeared characteristically in the early Joseon period , through the political power relationships between royal authority and courtier authority. Along with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Neo-Confucianism which was embraced as a political ideology worked with features of securing the traditionalism of the Dynasty and stabilizing social order. In addition, the public opinion politics which are manifested through history in the middle of Confucianism politics serve as an important cause for changing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Joseon Dynasty; such factors of change come from the polit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King and Courtiers, which is contained in public opinion politics.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of royal family traditionalism, a very urgent issue to be resolved along with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was secured based on the ideologies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 political ideology of Neo-Confucianism which emphasizes rational formation of principal agents serves as an opportunity and source of encouragement for Confucian scholars to participate in politics. Moreover, the public opinion politics which are based on the political ideologies of Neo-Confucianism function as a place of public opinion and a new political power which encourages the central government entrance of the ‘Sarim(士林)’. Based on such perspectives, this paper will aim to study the political ideology of Neo-Confucianism in terms of royal authority reinforcement, an ideology that has been embraced for the establishment of social order and royal family traditionalism along with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is proces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 political meaning of ‘Sarim(士林)’, a political power that appears in the political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 전기에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公論政治의 확립과정을 王權과 臣權의 정치권력 관계 속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의 탄생과 더불어 정치이념으로 수용된 주자학적 성리학은 새로운 왕조의 정통 성을 확보하고 사회의 질서를 안정화하는 것에 순기능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유가의 현실정치 속에서 士를 중심으로 발현되는 공론정치는 조선왕조의 정 치구조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변화의 요인은 공론 정치에 담겨져 있는 君臣간의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비롯된다. 다시 말해서 조선의 탄생과 더불어 시급하게 해결해야할 왕실의 전통성 확립은 주자학적 성리학의 토대 위에서 확립되었다. 하지만 도덕적이고 합리적인 주체의 형성 을 강조하는 성리학의 정치이념은 유학자(士林)들의 정치참여를 독려하는 계 기가 된다. 더욱이 주자학적 성리학의 정치이념에 토대를 두고 있는 공론정 치는 새로운 정치세력으로서 사림의 중앙정계진출을 독려하는 공론의 장으로 기능한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는 조선의 탄생과 더불어 왕실의 정통성과 사회질서의 확립을 위해 수용된 성리학의 정치이념을 왕권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고찰하 고 주자학적 성리학의 정치이념 속에서 발현되는 조선 성리학의 특징을 공론 의 형성과정 속에서 살펴본다. 이 과정은 조선의 정치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사림의 정치적 의미를 되짚어 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序論
 Ⅱ. 朝鮮의 性理學 受容과 德治主義
 Ⅲ. 公論의 性理學的 論據
 Ⅳ. 爲民의 論理와 名分의 公論性
 Ⅴ. 公論의 政治와 政治權力 關係
 Ⅵ.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金熙 김희.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2단계 BK21사업팀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