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USN기반 u-Healthcare 시스템 트래픽도메인 환경에서의 보안위험도 평가체계 설계방안

원문정보

A Building Method of Security Vulnerability Measurement Framework under u-Healthcare System Traffic Domain Environment Based on USN

노시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mart environment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u-Healthcare architecture, ad-hoc network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environment are major factors that increase vulnerability of u-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Traffic domain is the concept of network route that identifies the u-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area as the traffic passing and security technologies application. The criterion of division is an area requiring the application of security technology. u-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domains are derived from the intranet section, the public switched network infrastructure, and networking sectors. Domains of health information systems are separated by domain vulnerability reason. In this study, domain-specific security vulnerability assessment system based on the USN in u-Healthcare system is derived.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suggests how to establish more effective measurement USN-based health information network security vulnerability which has been vague until now.

한국어

의료정보 기술의 Smart 환경, Ad-hoc networking, 무선통신 환경은, u-Healthcare 요소기술과 함께 정보보안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트래픽 도메인이란 u-Healthcare 의료정보시스템을 통과하는 트래픽 구간의 구분 영역 으로서 보안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영역을 구분하는 개념이다. 그 구분의 기준은 보안기술의 적용이 필요한 영역. 트래픽 경로와 트래픽 성격이 타 도메인과 차별화 가능한 영역. 보안기술 적용시 타 영역의 보안기능으로 기능중복이 발생치 않는 영역이다. u-Healthcare 의료정보시스템 도메인은 사용자단말구간, 공중통신망 인프라구간 ,네트워킹구간, 인트라넷구간으로 도출된다. 의료정보시스템을 도메인별로 구분하여 취약점을 평가하는 이유는 도메인별로 취약점에 대한 대처방법이 다르게 도출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의료정보시스템 도메인을 도출하고 도메인별 보안취약성 진단체계를 설계하여 USN 기반 u-Healthcare 시스템에서의 보안대책을 강구하기 위해서 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을 사용할 경우 현재까지 막연하게 진행 되어온 USN 기반 의료정보네트워크 보안취약성 진단대책 수립 방법을 좀 더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u-Healthcare 서비스 모델
 3.u-Healthcare트랙픽도메인설정
  3.1 트래픽 도메인 분류기준
  3.2 트래픽도메인 구간 설정
 4. 도메인별 취약점 진단체계
  4.1 기본 프레임워크
  4.2 기술적 보안 취약점 점검방법
  4.3 취약점 점검 도구
 5. 도메인별 위험도 평가체계 설계
  5.1 평가체계 개관
  5.2 평가 모형
  5.3 종합 위험도 수준 산출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노시춘 SiChoon Noh. 남서울대학교 컴퓨터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