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Self-rated Health on the Perceived Leisure Satisfaction in the Leisure Facilities User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perceived leisure satisfaction in the leisure facilities us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hypothesi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perceived leisure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e self-rated health does link leisure activities and perceived leisure satisfaction. Secondly, the hypothesis the meditating effects of the leisure importance awareness affec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perceived leisure satisfac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the reasons of leisure use resulting in dissatisfaction are in order: the economic burden, lack of time, and poor quality of the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In conclusion the urban government and non-profit organization of the community have to suggest the solution for low cost of the leisure facilities use and the institutional mechanism to be accessible in the community and workplace.
한국어
현대인은 노동과 여가의 균형성을 지향하면서 여가의 중요성을 보다 중요하게 인식하는 사회적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레저시설 이용자의 주관적 건강평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다른 목적은 레저시설 이용자의 주관적 건강평가와 여가만족간의 관계에서 여가 중요도 인식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인과모형 설정에 따라 자료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레저시설 이용자의 주관적 건강평가는 여가 중요도 인식에 정의 방향으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저시설 이용자의 여가 중요도 인식은 여가 만족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레저시설 이용자의 주관적 건강평가는 여가 만족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레저지설 이용자의 주관적 건강평가와 여가 만족도의 관계에서 여가 중요도 인식에매개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다섯째, 여가활용 불만족 이유는 경제적 부담, 시간 부족, 체력 또는 건강이 안 좋아서 발생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대응이요구된다. 결론적으로 현대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은 여가 만족도에 연계되고 있다고 할 수 있 다. 향후 정부와 지역사회비영리단체는 저렴한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가시설 환경, 여가 시간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직장과 지역사회 인근의 여가 접근성 확보를 위한제도적 장치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여가와 주관적 건강평가
2. 여가만족과 여가 대처 전략
3. 선행연구의 논의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분석자료
Ⅳ. 분석결과
1. 표본의 건강과 여가만족에 대한 응답 내용
2. 가설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