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상교육

20대 남성의 최대하 운동 대사반응 및 달리기 기록을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식 개발 및 타당도 비교

원문정보

Predictions of O2max Using Metabolical Responses in Submaximal Exercise and Distance Running for Male, and Comparison the Validity of These Prediction Models

임재형, 전유정, 장혁기, 김효중, 김기홍, 이병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rediction model of O2max using submaximal metabolic responses from the Bruce protocol, and distance running record, and to compare and analyse the validity of these prediction models. [METHOD]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214 male 20s years old males. They were participated maximal exercise testing with Bruce protocol, and the metabolic responses were measured in the end of the first(3 minute), second stage(6 minute), and 1,200m running record. Measurement items were O2(ml/kg/min), CO2(ml/kg/min), E(L/min), HR(bpm) of 3 and 6 minute, time to HR 150bpm and 170bpm, HR difference between Bruce protocol 6 and 3 minute, 1,200m running record. To determine the predicted model of O2max,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with enter and stepwise methods. [RESULT] Analyzing with all variables using enter method, the multiple R of total variable model was 0.671(p<.01), SEE was 6.60 ml/kg/min, CV was 15.6 %, but multicolinearity appeared. The multiple R of 3 minutes model 1 and model 2 were 0.437 and 0.472, SEE was 6.94 and 6.82 ml/kg/min, CV was 16.4 and 16.1%, and multicolinearity did not appeared. The multiple R of 6 minutes model 1 and model 2 were 0.571 and 0.585, SEE was 6.35 and 6.29 ml/kg/min, CV was 15.0 and 14.8%, and multicolinearity did not appeared. The R of HR150 and HR170 model were 0.268 and 0.274, SEE were 7.58~8.10 ml/kg/min, CV were 17.9~19.1%. The R of 1,200m running model was 0.270, SEE was 7.11 ml/kg/min, CV were 16.8%. [CONCLUSION] With considering usefulness and convenience through the validity of these prediction models, the prediction model of O2max recommended 6 and 3 minute model, HR170 model, 1,200m running model, HR150 model, and 6 minute HR-3 minute HR model by tunes.

한국어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부하검사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Bruce protocol을 이용한 최대하 운동의 대사반응과 달리기 기록을 이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을 추정하는 모형을 개발하고 모형간 추정의 타당도를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20대 남자 214명이며 Bruce protocol을 이용하여 최대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였고, 3분인 1단계와 6분인 2단계 종료 시점의 대사반응을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은 O2(ml/kg/min), CO2(ml/kg/min), E(L/min) 및 HR(bpm), HR가 150bpm과 170bpm에 도달하는 시간, Bruce protocol 6분과 3분 심박수 차이, 1,200m 달리기 기록 등이었다. 신체자료와 최대하 운동 중 대사반응을 이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을 산출하는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모든 변수를 동시투입법으로 분석한 전체모형의 R은 0.671이고(p<.01) 추정의 표준오차(SEE)는 6.60 ml/kg/min, 변동계수(CV)는 15.6%이었으나(p<.01), 다중공선성이 나타났다. 단계별분석법으로 분석한 3분모형1과 모형2의 R은 0.437과 0.472이고, SEE는 6.94와 6.82ml/kg/min, CV는 16.4와 16.1%로 나타났고(p<.01), 다중공선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6분모형1과 모형2의 R은 0.571과 0.585이었고(p<.01), SEE는 6.35와 6.29ml/kg/min, 변동계수(CV)는 15.0과 14.8%로 나타났으며(p<.01), 다중공선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6분HR-3분HR 모형의 R은 0.179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HR150모형은 0.268, HR170모형은 0.274로 나소 낮게 나타났고, SEE는 7.58~8.10ml/kg/min으로 유사하게 나타났고, CV도 17.9~19.1%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1,200m 달리기 모형의 R은 0.270이고, SEE는 7.11ml/kg/min, CV는 16.8%로 나타났다. 측정 O2max와 모형을 이용한 8개의 추정 O2max 사이의 R은 0.155~0.585로 나타났다(p<.05). 모형 간 상관계수는 3분 모형 1과 2, 6분 모형 1과 2는 0.927~0.976의 매우 높게 나타났고, HR150모형과 HR170모형간에도 0.987의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결론] 타당도 비교를 통해 유용성과 간편성을 고려하면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에는 대사반응을 이용한 6분모형과 3분모형, 1,200m 달리기 모형, HR170과 HR150 모형 그리고 6분HR-3분HR모형 순으로 권장되었다.

목차

초록
 서론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측정 항목 및 방법
  자료처리방법
 결과
  신체변인과 3분 및 6분반응의 전체모형
  3분모형
  6분모형
  심박수 모형
  1.200m 달리기 모형
 논의
  최대산소섭취량 추정 연구 비교
  추정 모형의 타당도 분석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재형 Im, Jae-Hyeng. KAIST
  • 전유정 Jeon, Yoo-Joung. KAIST
  • 장혁기 Chang Hyuk-Ki. 서울여자대학교
  • 김효중 Kim, Hyo-Jung. 조선대학교
  • 김기홍 Kim, Ki-Hong. 상명대학교
  • 이병근 Lee, Byung-Kun. 상명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