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Specialized Landscaping Plan on the City Entrance of Pohang - Based on the Concept of Place Branding -
초록
영어
Pohang was a typical complex city where the coastal landscape of the East Sea and the mountainous landscape of the inland coexisted. Since after POSCO was established in the last 60s under the ideal of Steel Patriotism, Pohang’s image of a steel city has been overtly carved out to people. Thus Pohang finds it difficult to distribute the image as a state-of-the-art science and research city that it pursues. Particularly, the city entrance of Pohang that may give the first impression to visitors does not reflect the future vision differentiated from others. Therefore, a plan was established to specialize the city entrance that can sweep off the past city image—the stiffened-up image of a steel city. A landmark design with the identity of Pohang was proposed for Pohang IC Tollgate, the only city entrance from the highway.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overall design concept, the plan also aimed at realizing eco-friendly and green Pohang by removing or renovating the structures constructed in the other six entrances from the national highways without an identical plan and installing street trees in row. To symbolize the elegant city image of Pohang, the plan proposed the installation of sculptural columns or symbolic structures by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the places. It is expected that this plan will, first, increase the value of the city entrance landscape and the national land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city entrance landscape, and seco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city image. Such a public design development project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Pohang’s city brand and the increase in the status of Pohang as a key local city that goes hand in hand with the global era.
한국어
포항시는 동해의 해안경관과 내륙 산악경관이 공존하는 전형적인 복합도시였다. 60년대 말 제철보국의 신념 아래 포항제철이 들어 선 이후 포항시의 대외 이미지가 철강도시로 과도하게 각인되어 왔다. 그래서 포항시가 추구하는 첨단과학연구도시로서의 이미지 확산에 애로를 겪고 있다. 특히 포항을 찾는 외지인들에게 포항의 첫 인상을 좌우하는 진입관문도 지역의 차별화 된 미래 비전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철강도시의 경직된 과거의 도시 이미지를 불식시키는 방안으로 진입관문 특화 계획이 수립되었다. 유일한 고속도로 진입관문인 포항IC 톨게이트는 포항시의 정체성을 가미한 랜드마크적인 디자인안을 제안하였다. 나머지 6곳의 국도 진입 경계부는 전체 컨셉의 방향에 따라 난립된 시설물들을 제거 및 리노베이션하고 가로수 열식으로 친환경 그린(green) 포항을 추구하였다. 또한 포항시의 세련된 도시 이미지를 상징하기 위해 조형열주나 상징조형물을 장소적 여건을 고려하여 설치를 제시하였다. 향후 파급효과로는 첫째, 진입관문의 경관개선을 통해 도시진입경관과 국토환경디자인의 가치가 향상될 것이다. 둘째, 도시 이미지 증진으로 인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게 된다. 이러한 공공디자인 개발사업은 포항시의 도시 브랜드 가치향상으로 이어져 국제화 시대에 걸 맞는 지역 거점 도시로서의 위상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도시 브랜드와 플레이스 브랜딩
2.1. 도시 브랜드의 개념
2.2. 도시 브랜딩으로서 플레이스 브랜딩
2.3. 플레이스 브랜딩의 요소와 유형
2.4. 플레이스 브랜딩의 우수사례 검토
3. 진입경관에 대한 고찰
3.1. 진입경관의 개념 및 특징
3.2. 진입경관의 분류 및 공간구성 요소
3.3. 진입관문 국·내외 사례분석
4. 포항시 진입관문 플레이스 브랜딩 연구
4.1 프로젝트 추진 개요
4.2 포항시의 도시특성 개괄
4.3 연구대상 진입관문 경관현황
4.4 분석종합에 따른 방향설정 및 컨셉
4.5 진입관문별 플레이스 브랜딩 연출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 1A study on the place branding of Pohang Homigot coastal roadsearticle 원문 이동
- 2- 김연일(2011), 「시·도 진입부에 설치된 사인(sign) 및 조형물 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3- 김유경(2007), 「장소브랜딩의 역할과 정략적 관리」, ‘제일기획 브랜드포럼’
- 4- 박상훈, 장동련(2009), 『홍대앞에서 런던까지 장소의 재탄생』, 서울;디자인하우스.
- 5도시진입부에서의 경관인지에 관한 연구 : 진주시를 중심으로네이버 원문 이동
- 6- 이종연(2009), 「플레이스 브랜딩과 연계한 뮤지엄 브랜딩 전략연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7Remodeling place branding application to improve urban brandearticle 원문 이동
- 8A Study on Place Branding for Promotion of the Value of City Brand네이버 원문 이동
- 9- 최수영(2010), 「도시 브랜드 마케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10- 포항시청(2011), 『기본경관계획』, ‘한국도시설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