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Button and Unbutton Time and Kinds of Buttons (in Silver Genera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as basic data on an appropriate unbutton and button device for elderly people's clothing, by examining the removable time for a blouse according to many kinds of buttons to improve the removability of their clothing.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on 50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0. The same experimental method with 「A Study of the Button and Unbutton Device for Elderly Medical Design Guideline-Button Experiment」 in JIS was used to perform the button and unbutton device and movement,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kind of experimental clothing was a blouse. The wearing test was carried out through factors such as the size of its button, the column of its button, and the kind of its button hole. The results of videography were analyzed by time measurement. The unbutton and button time was measured by factors such as the size of each button, button hole, and the kind of button hole, and pack board tes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these factor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lderly put a generally low valuation on buttons of 0.9cm and 1.15cm. The button of 1.5cm was the preferred size of button in each age group of the aged, and that of 1.8cm was moderately preferred.
한국어
본 연구는 실버 의복의 착탈성의 향상을 위하여 여러 단추의 종류에 따른 블라우스의 착탈시간을 고찰함으로써 실버의복의 적절한 개폐장치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저 연구되었다. 실험대상은 60세 이상의 실버 50명으로, 실험방법은 JIS의「고령자의료배려설계지침을 위한 개폐장치의 연구-단추에 관한 실험방법론」과 동일한 실험방법으로 단추개폐시간과, 개폐동작을 실시하고 그 실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복의 복종은 블라우스로 단추의 크기, 단추기둥의 유무, 단추구멍의 종류 등을 요인으로 착용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비디오 촬영결과를 시간 측정한 것으로 각 단추의 크기나 단추구멍의 유무, 단추구멍의 종류 에 따른 개폐시간을 측정하고, 팩보드 테스트결과와 연령과 이들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실버대상에 있어서 0.9cm, 1.15cm 의 단추는 전반적인 평가가 낮고, 1.5cm단추는 실버 대상 각 연령대에 있어서 가장 선호되는 크기이고, 1.8cm 는 중간 정도의 선호도를 보였다.
목차
Abstract
1.서론
2. 연구방법
2.1 실험방법의 개요
2.2. 실험방법
2.2.1.피험자
2.2.2.실험복
2.2.3.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인체계측결과·고찰
3.2. 단추채우는 시간의 비교
3.2.1 시간 계측 결과
3.2.2 관능검사결과
3.2.3 소매부리와 몸판단추의 채우는 시간분석
3.2.4 상관분석결과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