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광고디자인의 제품유형별 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른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관한 실험 연구

원문정보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ceived Risk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 by Product Type and Message Framing in Advertisements Design

이동한, 허정무, 최원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has been investigated empirically which message framing type was more effective for reducing perceived risk level and raising buying intention by product typ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nsumer's perceived risk was relatively low in negative framing message type in case of utilitarian product type and the consumer's perceived risk was relatively low in positive framing message type in case of hedonic product type. Seco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has been relatively high in negative framing message type in case of utilitarian product type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has been relatively high in positive framing message type in case of hedonic product type. Third, interaction effects of product type and message framing type on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purchase intention has been significant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has been significant between consumer' perceived risk and purchase intention. It means that message framing type which can make consumer's perceived risk low should be presented to increase purchase intention and message framing should be presented differently by product ty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data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udy on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by product type and will contribute practically to create more effective advertisemen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제품 유형에 따라 어떠한 메시지 프레이밍 형태가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을 감소시키고 구매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제품유형별(실용적/쾌락적)로 메시지가 다르게 프레이밍(긍정적/부정적)된 가상의 브랜드 광고물을 제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실용적 제품의 경우는 부정적 프레이밍 형태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낮게 나타나고, 쾌락적 제품의 경우에는 긍정적 프레이밍 형태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낮게 나타났으며, 구매의도의 경우 실용적 제품은 부정적 프레이밍 형태에서 긍정적 프레이밍 형태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쾌락적 제품의 경우는 긍정적 프레이밍 형태에서 부정적 프레이밍 형태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대하여 제품 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제품 유형별로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과 제품 유형별로 메시지 프레이밍의 형태를 다르게 제시함으로서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학문적으로는 향후 제품 유형에 따른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와 관련한 연구에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실무적으로도 보다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광고물을 제작하고 운영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2. 연구방법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1. 메시지프레이밍
  2.2. 제품 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
  2.3. 지각된 위험과 메시지 프레이밍
  2.4. 가설의 설정
 3. 연구방법
  3.1 실험제품 설계
  3.2 실험 광고물의 제작 및 조작 점검
  3.3 변인의 측정
  3.4 실험 방법 및 실험 대상
 4. 연구결과
  4.1. 제품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른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 수준
  4.2. 제품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른 구매의도
  4.3.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수준과 구매의도의 관계
 5. 결론
  5.1. 논의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동한 Lee dong-han.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주)유니기획 전략연구소 소장
  • 허정무 Heo jeong-moo.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겸임교수, (주)스프링커뮤니케이션즈 부사장
  • 최원수 Choe won-soo. 대불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