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상주 백자의 문헌적 일고찰

원문정보

A Philological Study of the White Porcelain Made in Sangju in the Late Joseon Period

김종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attempt to consider of a philological study of the White Porcelain made in Sangju in the late Chosun Period. Although the Porcelain goods had made in Sangju in the early Chosun Period, but in this area, the porcelaneous study was very slight actual circumstances so I submitted to a problem in the introduction. The writer, I am researching and concentrating on Sangju area, in the course, the White Porcelain made in Seosan is how excellent and valuable porcelain which is , in fact, records which are philological data of contents through them I present that it will be considered of moral training of a Confucianist by porcelaneous meaning and phase of White Porcelain made in Sangju and the White Porcelain in the late Chosun Period. On this, in the main subject, I develop to discuss as follows: the first, through the private phase of White Porcelain which was the most prosperously us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which had the symbol of courtesy and virtue. Those were studied by me. And I approached an aspect of phase of White Porcelain in the late Chosun Period. The Second, in the White Porcelain used in religious services utensils, I examined the use of a noble guest treatment and a religious services utensils in China and our country. The third, through the various data of White Porcelain made in Sangju Seosan and the background of King's utensils I considered the contents submitted as a presenting to the king the local products of king's utensils and especially the presenting to the king the local products of White Porcelain made in Sangju Seosan. The fourth, I studied historical evidence through the data which was an aspect of pure admiration spirit of White Porcelain in the late Chosun Dynasty scholars cultivated their mind and studied in the Confucianists' moral culture phase through White Porcelain. The fifth, I clearly studied the appearance of meaning practiced with courtesy to comply by the late Chosun Period tea-person's will who preferred the White Porcelain tea-ware. Ut supra, I can be confirmed the scope of value through the data of old literature about the private phase of the late Chosun Period White Porcelain and confirmed that the White Porcelain made in Sangju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Korean Porcelaneous historical phase according to consideration through Jeong, Yakyong's Dasan Collected Poems which was recorded the fact which was presenting to the king the local products of King's utensils of White Porcelain made in Sangju Seosan by the based on these consideration.

한국어

본 논고에서는 조선후기 상주 백자에 대한 고문헌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상주지역은 조선전기 상품자기 절반을 생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에 대한 도자사적 연구는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미비한 실정이었음을 서론에서 문제제기 하였다. 필자가 상주지역을 집중 연구하는 과정에서 서산의 백자가 얼마나 우수하고 진귀한 그릇인가를 사실대로 기록한 내용의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상주지역 백자의 위상과 도자사적 의의 및 조선후기 백자를 통한 유가의 수신을 고찰 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론에서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백색의 사적 위상을 통하여 조선 후기 가장 왕성하게 사용된 백자에 예와 덕의 상징성이 담겨 있음을 고증하여 조선후기 백자 위상의 일면에 접근 하였다. 둘째, 제기로 쓰인 백자에서는 백자가 우리나라 중국 등에서 제기 및 귀한 손님을 대접하는데 쓰였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어기의 배경과 상주 서산의 백자에서 여러 자료들을 통해 조선후기 백자가 어기의 진상품으로 올려 진 내용을 고찰하였고, 특히 진상된 백자에 상주 서산의 백자가 있었음을 밝혔다. 넷째, 백자를 통한 유가 수신의 위상에서 조선후기 선비들이 수양하고 학문하는데 백자의 결백한 정신을 흠모한 점을 자료를 통하여 고증하였다. 다섯째, 백자 다기를 애호한 조선후기 다인의 의지가 예에 부합되게 실천한 뜻이 분명히 드러났음을 고찰하였다. 위와 같이 조선후기 백자의 사적 위상을 고문헌의 자료를 통하여 그 가치의 범위를 확인 할 수 있었고,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하여 상주 서산 백자가 어기의 진상품이었음을 정약용의『다산시문집』을 통하여 고찰함에 따라 상주 백자가 한국의 도자사적 위상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본 론
  2.1. 조선후기 상주 백자의 도자사적 의의
  2.2. 조선후기 백자를 통한 유가의 수신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종태 Kim jong-tae. 청주대학교 공예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