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Research on the Company Satisfa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Expansion of Youth Employment
초록
영어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rder of Korea seems low compared with its external economic scale, and many people think that one of the main reasons is caused from the poor competitiveness of high education.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college education by examining and evaluating the overall matters and problems of college education through field evaluation of companies, and is a theoretical study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level with college education of companies. The main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first, to develop the curricula and academic operation of colleges into the consumer-oriented system that flexibly respond to the social demands, and, second, to establish a basic theoretical foundation to set up the regular satisfaction survey and college evaluating methods and processes in order to establish the opinion-exchange system between colleges and companies, so that companies's demands may be continually reflected in college education by setting up a close cooperation system between companies and colleges. The characteristics of great changes in high-educated manpower structure since 1990s are that college-graduated manpower is unbalanced between demand and supply not only in quantity but also in quality. The rapid increase of high-educated manpower is because the college entry has continually been extended to satisfy the internal passion for high education of Korean people. The problem hasn't fully reflected the demands of high-educated manpower. This research summarized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job world, the statistical data about providing college-graduated manpower, and the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First, this research summarized the response theory as a discussion about what relationship education and job world have, the relative autonomy theory, the lacking model as a discussion about implementing school-job world, the chance structure model, and the social network model, etc. Second,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ange of labor market, the manpower needed by industry, and the present conditions about providing the college-graduated manpower. The environmental change is related with population structure and change of socio-cultural surroundings, and discussions about these changes will suggest the implications about the labor market change of the future, the lifelong learning, and the change of continued education-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Last, in case of Korea, this research is carried on focusing on the existing research that practiced studies on college education in terms of manpower demand of companies. Especially,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 that were carried on in detail in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demanding college-graduated manpower and college education. This research is going to summarize focusing on representative researches related to the college education evaluation of companies among them. Based on these researches, this research is going to find out the variables and relationship concerning the companies'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한국어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외형적 경제규모에 비해 낮은 편으로 나타나며 그 주요 원인 중에 하나로 고 등교육의 경쟁력 미흡으로 보는 관점이 많다. 본 연구는 기업현장의 목소리를 통해서 대학교육 전반의 실 태와 문제점을 검토 평가하여 대학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 도 연구를 위한 이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대학의 교육과정과 학사운영을 사회 수요에 탄력적으 로 대응하는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하고, 기업과 대학 사이에 긴밀한 연계체제를 확립함으로써 기업의 요 구가 계속적으로 대학교육에 반영될 수 있도록 기업과 대학간 의견교환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만족도 조 사 및 대학평가 방법과 절차를 수립하기 위한 이론적 연구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90년대 이후에 고학력 인력구조에서 나타나고 있는 커다란 변화의 특징은 대졸인력이 양적측면에서 뿐만이 아니라 질적 인 측면에서도 수급의 불일치가 야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고학력 인력이 급속히 증가한 것은 우리국민들 속에 내재해 있는 고등교육에 대한 열망을 충족시켜주고자 대학정원을 계속적으로 확대한데에서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그러한 문제는 고학력 인력이 따르는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왔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교육과 직업세계의 관계와 대학졸업 인력의 수급현황에 대한 통계수치와 기업관점에서 대학교육의 만족도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정리하였다. 첫째, 교육과 직업세계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한 논의로서 대응론, 상대적 자율성론 그리고 대학-직업세계이행에 관한 논의로서 결핍모형, 기회구조모형, 사회적 네트워크 모형 등을 정리하였다. 둘째, 대졸인력수급에 관해서는 노동시장의 변화와 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 대졸인력의 공급에 관 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환경변화는 인구구조 및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와도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대한 논의는 미래의 노동시장의 변화가 평생학습과 계속교육이 중심이 되는 교육적 환경의 변 화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내의 경우 기업의 인력수요라는 관점에서 대학교육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기존 연구를 중심 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대졸인력의 수요자인 기업과 대학에서의 교육을 연관 시켜진행한 조사연구는 매 우 적은 편이지만, 그중에서도 기업의 대학교육 평가에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를 중심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이런 연구를 기초로 해서 차후에 기업의 대학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변수 및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의 내용
1.3 연구의 방법
Ⅱ. 이론적 배경
2.1 대학과 직업세계의 관계
2.2 대학-직업세계 이행 정의
2.3 대학-직업세계 이행의 이론적 모형
2.4 대학에서의 직업세계 준비
2.5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
Ⅲ. 대졸인력의 수급현황
3.1 대졸 인력 시장
3.2 직업세계의 변화와 기업의 인력수요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