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石濤의 一畫에 나타난 禪思想

원문정보

A Seon thought of single stroke discuss Shi-tao's (石濤)

석도의 일화에 나타난 선사상

이민경(탄호)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16권 2011.12 pp.245-27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ile the individual expression of painters in the artistic community of the late Ming Dynasty was comparatively live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community does not depart very much from the ideas found in Qichang Dong's division of style into the Northern and Southern a religious polemic. The tendency of Qing Dynasty painters to consciously employ traditional artistic form also predominated. Opposing the totality of tradition and this mimetic school with its insistence on traditionalism, there were those who emphasized a definitive search for one's own painterly style, where an individual's real experience of freely expressing his own particular inner world leads him forward. It was through these individuals that Shi-tao was able to obtain a liberated ethos and philosophy of expression and manifest his creative character. The eighteen pages of Shi-tao's Record of Paintings and Words display a coherence of personal artistic style and philosophy. These in turn constitute a theoretical work which emerges from the background of the source of Chinese art's genius, the “philosophy of the three schools.” The Record of Paintings and Words succinctly yet lucidly makes clear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three schools” ideology and artistic theory, concrete and direct creative principles and methods of painting, and Shi-tao's personal cultiva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one painting.” While we can say that the essence of the Record of Paintings and Words is a decisive model for the synthesis of the philosophy of the Three Schools and art, we can also say that the metaphysics of the Three Schools was an abstract theory of immanence. The conceptual direction of Shi-tao's “one painting,” however, is that the graphic arts' departure point and its beginning both lie in making possible the expression of the concrete phenomenal world. Foremost is that the “painting” (畫) of “one painting” does not mean a picture, but articulates the significance of a stroke, as in “to draw a line”, which means the actual creation of a single line on a canvas by an artist. An even more basic form of the single stroke is not simply that a line is an element of creation but that based the traditional ideology of the Three Schools, a single line is also one part of the cosmological form.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is metaphysical viewpoint as well. Shi-tao's artistic philosophy,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Ch'an sect, held that if one, through spiritual cultivation and by means of the infinite universe's abstract beauty, could unify one's spirit with the universe's nature and awake to the truth, then naturally that artist would transcend mere draftsmanship and would have no need for formal learning. The artist would only give importance to accomplishing the merging of spirit and vitality and the awakening of his artistry. When we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Shi-tao from a Ch'an-monk to an artist-monk and the expression of Ch'an in his paintings, ultimately I must call him the beginning of Qing Dynasty individualism. The art and theory of the free spirit Shi-tao established was a huge influence not only on the “Eight Eccentrics of Yanzhaou” (揚州八怪) but also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s. While walking the path of a Ch'an monk, Shi-tao created the Record of Paintings and Words, which was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unconditioned nature and the Three Schools. Shi-tao's style is not fixed, but throughout the work's entirety his consistent personal artistic style and philosophy develops, sometimes abstractly and sometimes concretely, and he establishes his personal creative method.

한국어

명나라말기 중국 화단에서는 작가의 개성표현이 비교적 활발하였으나 그 이론적 배경은 동기창의 南北宗論의 사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청대화가들의 화풍은 전형적 전통을 의식적으로 따르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정통성을 주장하고 나서는 이들의 擬古典主義적인 流波에는 반발하고 전형적 전통에 대해서는 자신만의 독특한 자아세계를 자유로운 표현방식으로 실질적 체험을 통해 이끌어 나갔으며 자신의 화법을 명확하게 찾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석도는 자신의 작품세계에서 표현상 자유로운 정신과 사상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독창적인 특징과 개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 석도의 󰡔畵語錄󰡕은 일관된 자신의 화법과 화론을 전체 18장으로 꾸몄으며 중국예술 정신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三家思想을 배경으로 펼친 이론서라 말할 수 있다. 그는 󰡔畵語錄󰡕에서 一畫의 원리를 바탕으로 三家思想과 회화사상의 기초문제와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회화 창작원리 및 방법과 본인의 인격수행에 관한 내용 등을 간략하면서도 명료히 밝히고 있음을 볼 수 있다. 「畵語錄󰡕의 핵심은 三家思想을 종합한 畵論의 결정체라 말할 수 있으며, 三家의 형이상학이 내재된 추상적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석도의 一畫는 觀念的 소향으로부터 구체적인 형상세계를 가능케 하는 회화예술의 첫 출발이자 또한 시작이다. 一畫는 우선 一畫의 畫를 “그리다”를 뜻하는 畵가 아닌 “긋는다”를 의미하는 畫로 발음함으로써 실제 창작에서 화가가 화면 위에 한번 긋는 한 줄의 線을 의미한다. 그러나 보다 더 근원적인 일획의 본체는 단순히 창작의 기본요소로서가 아니라 그것이 전통적인 三家思想의 토대 위에 성립된 것인 만큼 하나의 우주론적 본체로 생각하는 형이상학적 견해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禪宗의 禪思想에 기초한 석도의 회화사상을 禪僧이었을 때의 그와 畵僧이었을 때 그의 삶에 대한 변화와 그림을 통해 나타나는 선적 의미의 표현들을 살펴볼 때 과연 청대 개성주의의 시조라 말할 수 있으며, 석도가 이룩한 예술과 이론의 자유정신 사상은 후에 양주팔괴 뿐만 아니라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술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석도는 出家하여 禪僧의 길을 걸으면서 無爲自然의 道와 三家에 기초한 󰡔畵語錄󰡕을 저술하였다. 그의 화법은 한 가지로 고정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일관된 자신의 화법과 화론을 전체 18장의 󰡔畵語錄󰡕 가운데에서 때로는 추상적으로 때로는 구체적으로 전개하여 자신의 창조적인 화법을 확립한 것이다. 오늘날의 풍토는 옛 그림에 대한 이해와 탐구적 자세보다 모방적 성향이 흘러들어 젖어버린 것이 사실이다. 청초 끊어져가던 순수그림의 정신세계가 석도를 통해 이어졌듯이 석도 역시 옛 고전의 형식을 타파하고 순수한 자신만의 정신세계를 鼓吹해 나가며 자유로운 영원을 간직하기 위해 많은 노고에 힘썼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목차

한글요약
 Ⅰ. 序論
 Ⅱ. 一畫論에 나타난 禪思想
  1. 佛敎的측면의 一畫
  2. 一畫의 개념
  3. 一畫과 마음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민경(탄호) Lee, Min-kyung(Tan-ho). 동국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