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한불교조계종 현행 ‘상단칠정례’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ent ‘Seven bows on ceremonial occasion (七頂禮)’ in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신규탁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16권 2011.12 pp.53-8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Various Buddhist ceremonial writings are subject to change. However, for the alteration, there should be doctrinal explanations and reasonable procedure. The current ‘Worship writings for Buddha’ in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have been changed without doctrinal explanations and reasonable procedure. Especially, the principal image of Buddha(本尊) has been significantly altered from the traditional. I, in order to explain the transition, compared and analyzed abundant ‘Worship writings for Buddha’ contained in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which were circulated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the colonial perio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even bows on ceremonial occasion’(7정례), used for ‘Worship writings for Buddha’ in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has been altered from the traditional. ‘Worship writings for Buddha’ are significant documents in terms of symbolic meaning as well as practical aspect, revealing the faith or academic philosophy of the community which uses the same worship literatur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lteration of ‘Worship writings for Buddha’ could change the identity of Buddhism. Moreover, the only alteration of ‘Worship writings for Buddha’ among many ceremonial writings caused the contradictory situation: contradiction between ‘Worship writings for Buddha’ and the other ceremonial writings; contradiction between ‘Worship writings for Buddha’ and the doctrine of Buddhism.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is contradiction, I suggest that ‘Worship writings for Buddha’ and ‘Writings for penitential bow’ should be improved, following after the old tradition of faith. Through this research, I demonstrate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Worship writings for Buddha’ and ‘Writings for penitential bow’ within the area of Buddhism and Chinese characters.

한국어

불교의 각종 의례문(儀禮文)도 시대 변화에 따라 바뀔 수 있겠지만, 그것을 바꾸기 위해서는 상응하는 교리적 설명과 절차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대한불교조계종의 ‘예불문(禮佛文)’은 합당한 교리적 설명과 절차도 없이, 특히 본존(本尊)을 설정함에 있어 전통과 크게 달라졌다. 필자는 이 변질을 밝히기 위하여,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에 유통하던 각종 문헌 자료 속에 나타난 ‘예불문’을 비교하고 분석했다. 그리하여 현재 대한불교조계종에서 ‘예불문’으로 사용하고 있는 ‘상단칠정례’가 전통과 달라졌음을 논증했다. ‘예불문’이란 그것을 함께 사용하는 공동체의 신앙적 내지는 학문적 이념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문서로서, 교단의 실질적 측면은 물론 상징적 측면에서도 의미가 매우 크다. 이런 면에서 볼 때에, ‘예불문’의 변질은 교단의 정체성의 변질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게다가 많은 의례문 중 유독 ‘예불문’만 바꾸었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여타의 의례문과 모순을 초래했고, 더 나아가서는 전통과의 단절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런 모순과 단절의 극복 대안으로, 필자는 법신(法身) 신앙에 대한 옛 전통을 계승하여, ‘예불문’과 ‘예참문’을 정비할 것을 제안했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한자(漢字) 불교권에서 전통적으로 ‘예불문’과 ‘예참문’이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음도 논증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상단칠정례’의 유래와 그 문제점
  1. ‘상단칠정례’의 유래
  2. ‘상단칠정례’의 문제점
 Ⅲ. 단절과 모순의 해결 방안 모색
  1. 『원각경도량수증의』에 나타난 예불
  2. 『화엄보현행원수증의』에 나타난 예불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규탁 Shin, Gyoo-tag. 연세대(서울)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