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四溟堂 惟政의 정토사상

원문정보

Pure Land Ideology of Samyeongdang, Yujeong

사명당 유정의 정토사상

한태식(보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amyeongdang, Yujeong (1544-1610) was the authorized successor of Seosandaesa, who mastered the Zen sect and non-Zen sect of Buddhism, was skilled in the poetry and prose, and saved the country by participating in the war leading the voluntary Buddhist army in the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also played the role of peace delegate to Japan for the post-war treatment. In his ideology aspect, it looks that he had disciplined the Mujagongan based on the Ganhwaseon and studied the 󰡔Beobhwagyeong󰡕 [Siddharma Pundarika-Sutra] and the pure land theory in depth in terms of the non-Zen sect. In addition, he was bright in the 3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lso he interchanged with the noble class scholars. There are lots of lyric poems reciting the nature and appealing works more than the contents of Buddhistic lesson in the plenty of his poetry and prose. The 󰡔Wonjunjangrobeobhwahubal󰡕 is the representative material expressing his pure land ideology. It suggests the Taryeok faith [the faith by the other’s power] and the directional & tangible pure land positively. Particularly, he took serious view on the Chingmyeongyeom -bul [invocation to Buddha] rather than on the Yusimheongto [spiritual pure land], and stated clearly that there exists the Buddha’s nirvana pure land. Also, he explained the nirvana pure land in the several Soh [alienation verses] he composed, and put stress on the Buddhist invocation in the Geuklakwangsaengcheonhonmun [writing on the dead person’s soul for easy passage into eternity]. We can see that he paid keen attention on the white lotus fraternity in several verses he had composed for the Buddhist monks in the white lotus fraternity training center. So, it looks that he was the Buddhist invocation pilgrim of the white lotus fraternity. In addition, it is the evidence to discern his pure land ideology and his aspect of faith that he always possessed the clothing of guardian Buddha in the war and that he did not neglect the invocation and prayer all the time holding the statue of Buddhist Goddess when visiting japan as the peace delegate. Finally, it may not be the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Buseoksa Anyangru Jungchanggi」 [reconstruction story of Anyang Building of Buseoksa Temple] he wrote is speaking by proxy that the Anyangru of Buseoksa Temple is the pure land of this life.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his pure land ideology had been the directional tangible pure land based on the Jeongtosambugyeong [three Sutra of pure land], and he had practiced the daily discipline of invocation to

한국어

四溟堂 惟政(1544-1610)은 西山大師의 法嗣로서 선교에 통달하였고, 詩文에도 능하였으며, 壬辰倭亂을 맞이하여 儀僧軍을 이끌고 전쟁에 직접 참여하여 나라를 구하였다. 또한 전후의 처리를 위해 일본에 講和使 역할도 하였다. 그의 사상적인 측면은 간화선 중심의 無字公案 수행을 하였으며, 교학적으로는 󰡔법화경󰡕과 정토교학을 깊이 공부하였다고 보여진다. 뿐만 아니라 儒佛仙의 삼교에도 밝았으며, 사대부들과도 넓게 교류하였다. 그의 많은 시문에는 불교교학적인 내용보다 자연을 읊은 서정시와 상소문 등의 글이 많다. 그의 정토사상을 나타내고 있는 자료로는 󰡔圓俊長老法華後跋󰡕가 대표적이다. 여기서는 타력신앙과 指方立相的인 정토에 대해여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있다. 특히 그는 唯心淨土보다는 칭명염불을 중시하고 있으며, 서방극락정토가 존재함을 분명히 하고 있다. 또 그가 지은 󰡔彌陀造成點眼疏 󰡕와 󰡔畵諸佛菩薩慶讚疏󰡕 등에서도 극락정토에 대해서 설하고 있으며, 극락왕생천혼문으로는 󰡔華嚴經後跋󰡕, 󰡔韓方應薦父母印經跋󰡕, 󰡔覺林寺尋劒堂落成疏󰡕, 󰡔月精寺法堂改椽疏󰡕 등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백련결사도량의 승려들에게 지어준 몇 편의 게송에서 그가 백련결사를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는 백련결사의 염불행자인 것 같기도 하다. 이 밖에도 그가 전쟁에서도 항상 수지하였던 호신불의 복장이나 강화사로서 일본에 갈 때 관음상을 모시고 가면서 항상 예불이나 기도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는 점도 그의 정토사상과 신앙적인 측면을 가름해 볼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끝으로 그가 지은 「浮石寺安養樓重創記」는 부석사 안양루가 그대로 현세 정토임을 대변하고 있다고 하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그의 정토사상은 정토삼부경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입상적인 정토이며, 칭명염불을 수행의 일과로 삼았다고 보여진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생애와 사상
  1. 생애
  2. 사상
 Ⅲ. 정토사상
  1. 圓俊長老法華後跋에 나타난 정토사상
  2. 各疏에 나타난 정토신앙
  3. 偈頌에 나타난 백련결사
 Ⅳ. 기타
  1. 호신불
  2. 부석사 안양루중창기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태식(보광) Han Tae-sik(Bo-kwang). 동국대(서울) 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