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the Failure Prediction Model of Delisting Firms in KOSDAQ Market
초록
영어
We researched the delisting firms’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the failure prediction model using Logit analysis in KOSDAQ market. This research selected samples that was delisted firms at KOSDAQ market during 3 years from 2009 to 2011. And we matched normal firms with 1:1 matching method. Normal firms were selected with total asset. We analysed the Logit analysis with financial ratios and calculated T-value of mean difference between delisting firms and normal firms. The results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wo groups. Also the difference get become larger. We used the Backward elimination method. The results shows prediction capability is 83.8% before 1 years and 69.6% before 2 years. Also, we researched the suitability of auditors opinion about the delisting firms. The results shows the in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wo groups. And we got second thoughts about the suitability of auditors opinion of the delisting firms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코스닥(KOSDAQ) 시장에서 특정기간(2009년 ∼ 2011년)동안 상장폐지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재무적 특성을 파악한 후, 재무적 특성 중에서 재무비율을 가지고 로짓분석(Logit Analysis)을 통해 부실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상장폐지된 기업과 유사한 자산규모를 가지고 있는 정상적인 기업을 1대 1로 대응시켜서 이 두 그룹간 재무비율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들에 대한 부실예측모형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7개의 재무비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것들을 가지고 평균의 차이를 검정한 t-test결과, 현금성자산비율(CATA)을 제외한 모든 비율에서 정상적인 기업과 상장폐지된 기업 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그 차이는 상장폐지 직전년도로 갈수록 더욱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실예측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장폐지 1년 전의 예측력이 83.8%, 2년 전의 예측력이 69.6%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분석하지 않았던 부분인 상장폐지된 기업 중 감사의견의 적정성 여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 두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적정감사의견을 받은 기업과 적정감사의견을 받은 기업 간의 재무비율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적정감사의견을 받은 기업 중 상장폐지된 기업에 대한 감사의견의 적정성에 의문을 갖게 되었다.
목차
I. 서론
II. 기존의 주요연구
III. 연구방법
1. 표본의 선택
2. 재무비율의 산정
3. 재무비율 평균에 대한 차이분석
4. 로짓분석을 통한 부실예측모형의 작성
IV. 실증분석결과
1. 상장폐지기업과 정상기업 간의 재무비율 평균의 차이분석
2. 로짓분석을 통한 부실예측모형의 작성
3. 비적정감사의견기업과 적정감사의견기업간 재무비율 평균의 차이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