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서지역의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원문정보

The Importance Analysis of Experts on Eco-Cultural Regeneration Index in Island Regions

변병설, 신선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duced ecological and 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which can be introduced in island regions. And then, survey on recognition on importance was carried out with experts group. First of all, based on status and development trend of islands, farming and fishing village, ecological and marine city, eco-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fit to islands area were induced. Ecological regeneration factors were classified to land use, transportation system, buildings, and resources cycle. While 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were classified to preservation, making tourism resources, and base facilities. This study compared recognition on importance by field such as occupation and major field. One-way ANOVA was used. As a result, this study compared recognition on importance about eco-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in island regions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도서지역에 도입 가능한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를 도출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도서지역의 현황과 개발 동향, 농어촌 마을 및 생태․해양도시를 기초로 하여 도서지역에 적합한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를 도출하였다. 생태적 재생 요소에는 토지이용, 교통체계, 건축물, 자원순환으로 분류하고, 문화적 재생 요소에는 보존 및 보전, 관광자원화, 기반시설로 분류하였다. 직업분야(학계, 공공기관, 민간회사), 전공분야(도서․해양, 문화․관광, 생태․환경, 도시계획)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차이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도서지역의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에 대한 전문가 집단간 중요도 인식을 비교하였다. 토지이용부문은 학계와 공공기관 간 충분한 협의가 있어야 하고, 전문가들은 생태문화자원의 보존을 통해 도서지역이 활성화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도서지역의 재생 개념
  2.2 선행연구 고찰
 3. 분석의 틀 정립
  3.1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 도출과정
  3.2 설문조사의 대상 및 방법
 4. 실증분석
  4.1 전문가집단의 특성
  4.2 도서지역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 선정
  4.3 전문가 집단의 중요도 인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변병설 Byungseol Byun. 인하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 신선미 Sunmi Shin. 인하대학교 도시계획학과 석사졸업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