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佛國寺 造營에 보이는 정토사상의 요소 - 극락전과 관무량수경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ure Land Idea on the Hall of Paradise in Bulguk-sa Temple

김소정(희용), 장헌덕, 황종국, 김상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thought and Buddhist architecture has not scarcely studied though Buddhist thought underlies every Buddhist architecture. Therefore I studied of the effect of the Pure Land Idea on the Hall of Paradise in Bulguk-sa Temple. To get a specific concept of the Pure Land Idea, I refer to "The Amitayurdhyana Sutra(觀無量壽佛經)".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3 선행연구 검토
 2. 경전내용분석
  2.1. 정토삼부경에 나타난 극락세계의 요소
  2.2. 관무량수경에 나타난 구품왕생의 구조
 3. 불국사의 구조
  3.1 구품연지의 영역성
  3.2. 정토와 예토의 경계
  3.3. 대웅전과 극락전의 관계
 4. 경전 내용의 조영적 반영 형태
  4.1. 정토삼부경에 보이는 공통 요소의 반영
  4.2. 관무량수경에 나타난 요소의 반영
  4.3. 상품상생과 상품중생의 동선 차이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소정(희용) Kim, So-Jung (Ven. Hee-Yong).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건축학과 졸업예정
  • 장헌덕 Chang, Hun-Duck.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건축학과 교수, 공학박사
  • 황종국 Hwang, Jong-Kook.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건축학과 교수, 공학박사
  • 김상태 Kim, Sang-Tae.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건축학과 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