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술의 잠재적 공간 : 창의력, 감응과 관습에 대한 도전

원문정보

The Potential Space of Art : Creativity, Affect and transgression

최옥희, Nicholas Addiso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나는 창의적인 활동을 지원하고 유지하는 환경적인 조건의 고찰을 통해, 창의성이 학교 미술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게 만드는 조건들을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로 생산 과정으로서 창의력이 갖는 순화된 특성을 비평할 뿐만 아니라 비고츠키식 학습 개념 안에서 사회적 이벤트로서 그림을 그리는, 창의적인 사람들을 비평하였다. 후자는 학생들이 그리기 "게임"을 통해 얻은 허가를 이용하여 교사를 "공격"하는 관습을 거스르는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는 클라인(Klein)의 이론과 그녀의 유아적 공상의 지속성에 대한 주장, 그리고 창의적인 행동에 있어 그것이 갖는 중요성과 연관되어 이론화 되었다. 나는 이러한 생각들을 합치기 위해 위니코트(Winnicott)의 "잠재적 공간" 개녕믕 안전한 모체 환경을 통해 아이들이 창의성에 필요한 위험을 감수할 수 있게 해주는 공간으로 이끌어내었다.

목차

요약
 서론
 학습 조건: 성향과 태도
 창의성의 조건들
 동기: 감응의 중요성
 지식 구성
 환경: 시간, 공간, 재료
 상상력
 관습에 대한 도전의 예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옥희 백석문화대학 겸임교수
  • Nicholas Addison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UK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