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중교통을 위한 공공문자 정보인지성에 관한 사례 연구 - 서울시 공공문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the Information Recognition of Public Typeface for Public Transportation - Focus on the public typeface of Seoul -

석중휘, 조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formation density in the city space is getting higher and co-existing public information is also getting diverse and its quantity has been grown. The quality of city space would be judged by its efficiency in the economic behaviour rather than traditional function of cities. In this context, public transportation has been urged to get over the traditional advantages of private transportation.
The present year of 2007, city-coverage-rate in South Korea is getting near 90.5%. This means each cites have to bear its own identity to push up the economic development.
Specifically, in 2004, twice in 2008 over the transportation system to establish the identity changes and an acceleration in the progress of each municipality the opportunity to become attached. From 2008 to develop and apply the 'Seoul typeface' for human capabilities and about the role of design problems have been noted. The needs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getting higher and this is nothing to do with the condition of private financial situation. This initiative drives urgent needs to enhance design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this action could be make symbolic image of city space. This study is about 'public typeface' as a component of organizational identity system, brief and development process.
Through analysis on criteria and functional characters of public typeface forming day-by-day environment and spacial identity, the suggestions and alternatives for 'public typeface' would be presented.

한국어

도시 시각환경에 있어 정보의 밀도(information density)는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공존하는 공공정보(public information)의 내용과 양 또한 매우 빠르게 다면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공공의 가치를 재하고 있는 공공정보는 이를 전달하는‘문자’를 통해 사회조직의 정체성과 문화적 특성을 드러내며, 러한 공공정보의 흐름이 일어나는 복합공간 속, 특히 급속한 도시화를 겪고 있는 우리의 도시 속에서 문자’는 공간자체의 시각환경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함께 도시를 직·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공공교통수단 역시 단순한 사회 공공적 할에서 벋어나 정보의 흐름과 괘를 같이하고 있으며, 현재 그것을 이끌어가는 역할로서의 요구 또한 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2007년 한국의 도시화 수준이 90.5%를 넘어서며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도시화국가로 진입하였고 급격한 세계화, 해외 자본 개방과 함께 도시경쟁력의 수단으로 고유의 도시 아이덴티티 수립을 위한 각 지자체의 활발한 디자인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04년, 2008년 두 차례에 걸친 서울의 교통체계 변화와 발맞춘 아이덴티티 수립 성과는 각 지자체 공공디자인 진행에 가속도를 붙이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아직 우리의 도시 아이덴티티에 한 수단별 매체별 분절화 되어 있는 디자인시스템은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공공정보 전달을 위해 2008년부터 개발 및 적용하고 있는‘서울서체’에 대한 디자인적 기능과 사용에 대한 문제점 또한 계속 지적되고 있는 상황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속에서 공공을 위한 교통시스템의 기본요소로서 도시이미지와 아이덴티티, 공공문자와 대중교통을 위한 요건과 기능, 형태적 특징에 한 비교ㆍ분석을 통해 공간과 조직의 정체성을 형성하며 일상의 다양한 환경에 이미지를 제공하여 공공공간에 통일된 아이덴티피케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리‘공공문자’의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도시환경과 공공문자의 이해
  2.1. 공공문자의 사회적 기능
  2.2. 아이덴티피케이션과 공공문자
  2.3. 대중교통과 도시 아이덴티피케이션
 3. 공공디자인의 공공문자 활용
  3.1. 국내 공공디자인의 공공문자 사례
  3.2. 해외 공공디자인의 공공문자 사례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석중휘 Souk, Jung Hwi. 청강문화산업대학 에코디자인전공 겸임교수
  • 조순호 Cho, Soon Ho. 공주영상대학 광고영상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