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구 긍정심리학, 얼마나 긍정적인가? - 실천신학적 전망 -

원문정보

Is Western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Enough?: A Practical Theological Prospect

권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proposes the need for building a hermeneutical and paradoxical model that integrates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emotive properties in understanding a human life from a practical theological perspective. Cultural critique of the historical formation of 'positive psychology' in the West is central to this enterprise. This article presents a challenge to the Western orientations to emotional stability and health benefit in current researches in positive psychology. This study assesses the way in which current consideration of American positive psychology limit a substantial link with the paradox in life praxis in non-Western cultures. First, this study examines a scientific and quantitative focus upon the research methods in current positive psychology. Leading positive psychologists Martin Seligman and Mihaly Csikszentmihalyi have chosen to distance themselves from humanistic psychology because of what they call its use of unscientific methodologies and its inadequate empirical foundation. And yet, this paper suggests that positive psychology has roots going at least as far back as Abraham Maslow and even William James in terms of thematic concerns about positive human phenomena, such as love, growth, and happiness. Drawing upon Aristotle's practical wisdom of moderation, a hermeneutical approach to human life and practice in practical theology such as Don Browning's shows how we should embrace the negative emotions in holistic context of life system. Simply put, the negative emotions are not bad emotions, but just play unnecessary roles to maintain homeostasis in human intrapsychic systems. In this sense, as Herbert Anderson argues, paradox is systematic ambiguity in life. In a practical theological prospect, ambiguity and paradox are blessed since they diminish the divisions that absolutizing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creates in scientific positive psychology.

한국어

1990년대 이후 한국교회는 내적치유운동의 영향으로 고통 받는 메시야의 모습을 망각하고, 긍정주의 심리만을 불러일으키는 치유장소로 변질되었다는 비판이 있어왔다. 본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에 널리 소개되고 있는 서구의 긍정심리학이 한국교회와 목회에는 어떠한 실천적인 함의가 있는지 문화해석학적인 비판과 실천신학적인 전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이미 미국의 초기 심리학자들이나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에게 연구되어져 온 인간 삶의 긍정적인 주제들이 최근 서구 긍정 심리학자들에게 의해서 새로운 영역으로 소개되어지는 이면에 양적 과학적 연구방법만을 유일한 방법으로 여기는 편향성과 감정의 안정성 및 건강유익성만을 행복의 척도로 여기는 서구적 틀이 있음을 지적하고, 이러한 서구 긍정심리학이 어떻게 한국인의 삶의 역설적인 측면을 담아낼 수 있을지 교차문화적으로 탐색한다. 연구자는 해석학적 실천철학을 기초로 주창한 단 브라우닝(Don Browning)의 실천신학 방법론을 가지고, 십자가의 도를 통전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한국교회와 한국인들을 위해서는 인간의 감정을 부정과 긍정인 이분법적 틀로 나누어 부정적인 감정을 통제하는 서구적 태도가 아니라, 우리에게 주어진 어떠한 부정적인 감정도 전체를 위해 필요하다는 체계적 사고와 부정과 긍정을 초월하여 가장 적절한 중용에 이르기 위한 실천적인 지혜가 절실함을 주장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새로운 긍정심리학의 등장: 측정이 가능해야 긍정적?
 III. 무엇을 위한 긍정인가?: 서구 긍정심리학의 문화적 이해
 IV. 삶이라는 역설: 때로는 부정을 긍정해야만 하는 이유
 V. 긍정과 부정을 초월한 실천을 향하여: 실천신학적 전망
 VI.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수영 Sooyoung Kwon. 연세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목회신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