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제작실험을 통해 본 영산강유역 대형옹관 제작기법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ceramic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large jar coffin in the Yeongsan River Basin through experimental archaeology method

조미순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7집 2011.12 pp.161-19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earch on the ceramic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large jar coffin in the Yeongsan River Basin through experimental archaeology method Cho, Mi Soon The research on the large jar coffin, the distinctive mortuary practice of the Yeongsan River Basin, has been focused on the socio-political aspect of society rather tha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ceramic adopted to coffin. In general, large jar coffins are 160cm in height and over 130kg in weight. To produce these distinctive scale large jars, it might be needed to be more elaborated pottery making technology than those of the contemporary utensils.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ceramic producing technology of the large jar coffin by adopting experimental archaeological methods. In other words, firstly, the experiment to prepare clay and fire pottery was carried out; and then,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was comparatively analysed with the previously analysed data. The experiment reveals that potter’s clay of these jars might be the alluvial clay deposited on the lower valley near the Oryang-dong kiln site or composite clay; and tempers were artificially blended. Amongst tempers, the possibility to add quarts is low, because this mineral requires intensive labour force and time to crush and hampers to build large jars. Due to the large size, each part of jar was firstly separately built, and then assembled. Finger-tip impressions in clay bands reinforcing the tensile strength of pottery facilitated the build jar coffins. Body patterns were paddled during the process of pottery building; and potter’s wheel was adopted. The base was firstly manufactured, and then inversed to build to rim. In specific, the hole on the centre of base was perforated in the pottery building process. The process was decided by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and reduction of atmosphere rather than by firing time. These peculiar making technologies appeared in large jar coffins might be adopted to produce these extra-large utensils; and further experiments will be conducted to prove the building technology, the restoration of pottery kiln and the research on the firing that have not been recovered.

한국어

제작실험을 통해 본 영산강유역 대형옹관 제작기법 연구 조 미 순 영산강유역의 독특한 고분문화인 대형옹관에 대한 연구는 정치사회적 문화연구에 치중되어와 대형옹관의 제작기술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대형옹관은 보통 높이 160cm, 무게만 130㎏이상으로 규모와 무게만 보더라도 동시대의 토기와는 다른 제작기술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 거대한 대형옹관의 제작기술을 실험고고학적 방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대형옹관의 태토마련과정에서부터 소성과정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존 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대형옹관의 제작기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옹관의 태토는 오량동 가마일대의 구릉성산지 기저부 퇴적점토 사용되었거나 혼합점토일 가능성이 높고 비짐은 인위적으로 혼입하였다. 비짐 중 석영맥암은 파쇄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뿐 아니라 옹관 성형이 힘들어 비짐 가능성이 낮다. 성형방법은 옹관이 대형기물이라서 일정 높이에서의 건조과정을 통한 분할성형이 이루어지고 점토띠의 손누름흔은 인장(引張)을 높여 성형을 용이하게 하였다. 문양은 토기 성형과정에서 타날하며, 옹관 성형시에는 회전대(돌림판)를 이용하였다. 옹관 성형은 도치 후 정치성형인 저부를 일부 만든 후 뒤집어 구연까지 성형하는 방법이 가장 용이하였다. 특히 대형옹관 바닥의 원공은 저부 제작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성과정은 소성시간에 의하기 보다 가마내부의 온도차이와 환원과정이 크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대형옹관에서만 나타나는 제작기법은 초대형기물을 만들기 위한 기술력으로 이해되며, 아직 해결되지 못한 성형기법과 가마형태 복원, 소성과정의 연구는 후속 실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대형옹관 제작실험의 방법 및 과정
  1. 태토조성실험
  2. 성형실험
  3. 소성실험
 Ⅲ. 대형옹관 제작실험의 분석과 해석
  1. 태토조성실험 분석
  2. 성형실험 분석
  3. 소성실험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조미순 Cho, Mi Soon.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