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家庭防空’ 조직과 지식 보급

원문정보

The formation of home air defense and the spread of its knowledge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period of wartime politics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가정방공’ 조직과 지식 보급

김혜숙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7집 2011.12 pp.117-15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ormation of home air defense and the spread of its knowledge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period of wartime politics Kim, Hye Suk Japanese imperial have prepared the various facilities and institutions in Korean as well as Japan, dividing regions and workplaces into a unit and promulgating the law of air defense in 1937 in order to protect them against the attack from the enemy plane. In this process, it was the system of home air defence that was the most basic and ever-greater part of the various system of national air defense. The home air defense means the action in the house when had an attack of enemy plain and in the organizations of home air defense, which the home was belonged and participated, for the protection of social community. By the 1936, in the practice of air defense led by the Military Headquarters of Chosun in every province the home air defense was only included as part of the training of national defense. But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law of air defense, as the recognition that the cooperation of all homes was necessary to operate quickly and effectively the national air defense was increased, the separate organizations was prepared and developed. Especially, it was important trigger to spread the home air defense that in December 1937, when the control over operation of air defense was vested with the police administration division of each province, the polices of each region on behalf of the military had competence over the education and propaganda, light control and the check of antigas equipment. With the including the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home air defense’ in the subsections of air defense training in Gyeonggi-do including Kyungsung conducted in June 1938, the provinces, which prepared to train the practice of air defence, tended to establish the organizations of home air defense ahead of practice. As a result, in the same year in November the practice of air defense training in 8 provinces mobilized the organizations of home air defence and involved them in training. By the first half of 1939, in fact, the regions which the organizations of home air defense was installed were only metropolises, port cities, developed cities of each province expecting Gyeonggi-do. But, in the promulgation a departmental ordinance No. 104, established organizations were integrated and reorganized by Gyeongbangdan, and the organization of home air defense also was reorganized as collateral organization of Gyeongbangdan, which diffused the regions of Bu, Gun, Myeon. In these progresses, the terms of the organization of home air defense, which were different in each region, were unified by ‘the Corporation of Home Air Defense’. In the 1941, however, the Corporation of Home Air Defense was dissolved, and its tasks were handed on Patriotic Units. As Patriotic Units was responsible for the home air defense, the national air defense network was completed, which included the regions that did not established the organizations of home air defense in the past. Moreover, an important stepping stone was prepared to permeate the guide to home air defense in each home and make the air defense common practice through training. As the Patriotic Units played the important role in home air defense, participation of housewives in practical activities of home air defense was in earnest. The housewives should participate in workshop, exhibition, watching movie, the neighborhood organizations and learn the strange knowledge of air defense under the name of defending her family against enemy plane. And they also mobilized in training of air defense and had to be tested by polices whether in the her house the equipment of home air defense was established. In this process, the most of housewives alienated from the standard and national education became nationalized. Moreover, Chosun government general sought to transmit the knowledge of air defense through students to home because at that time the most of housewives were illiterate and the transmission of its knowledge through only housewives was insufficient. Therefore, the school's air-defense classes were conducted, which aimed at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in particular schoolgirls who will be housewives in the future. The specific teaching materials with many pictures fo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was produced, but at that time the most basic guide books in education and propaganda of air defense was 'Sigukbanggongpilhyu' produced in 1941 and its revision in 1943. However, the printed materials were not enough to distribute to all home. And as the contents of materials were republished in Maeilshinbo,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promoted the effect of alternative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essential particulars had to be observed in home was distributed by printed bills and pamphlets. While his widespread knowledge of air defense included the contents and methods about the situation of air attack such as antigas, fire prevention, refuge, relief, there were considerable contents directly connected with food, clothing and shelter life. These practical contents of home air defense, however, was not limited to simply specific situation of air attack but changed as a common guide of living interlocking the life guidelines in wartime recommended by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Eventually the home air defense in this time became mediated effects to permeate governmental authority into everyday life at home. Of course, we could not conclude that all Chosun people completely understood and practiced the guidelines of home air defense and everyday life in wartime. However, apart from the practices of the knowledge of home air defense diffused at that time, it had an important meaning as a knowledge system which react to the crisis such as wartime and the situation required to exhaustive austerity. And these aspects constantly had an affect on the period of after Korean War as well as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using the knowledge of home air defense.

한국어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家庭防空’ 조직과 지식 보급 김 혜 숙 일본 제국은 敵機의 空襲에 대비하여 일본 본토는 물론 조선에서도 1937년 防空法을 발포하고, 지역 및 직장 단위로 각종 방공시설과 조직을 갖춰 나갔다. 등화관제를 포함한 방공 연습과 함께 방공 교육 및 선전 활동도 다각도로 전개하였다. 이렇게 추진된 국민방공 가운데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가정방공이었다. 가정방공은 항공기의 내습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산 및 인명 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서, 가정에서 행하는 활동 그리고 가정이 소속된 가정방공 조직에 동참하여 지역사회를 지키는 방공 활동을 의미한다. 1936년까지 조선군사령부 주도로 각지에서 실시된 방공연습에서, 가정방공은 단지 방호단 훈련의 일부로 포함되는 정도에 그쳤다. 그러나 방공법의 실시 전후로, 국민방공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각 가정의 협조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고조되면서, 별도의 조직 정비에 착수하게 되었다. 특히 1937년 12월 각 도 경무과로 방공업무가 귀속되면서, 군대를 대신하여 각 지역 경찰이 방공 교육과 선전, 등화관제 및 방독설비의 검사 등을 직접 관할하게 된 것은 가정방공이 확산되는 데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또한 1938년 6월 실시된 경성을 포함한 경기도의 방공훈련 항목 중 ‘가정방호조합의 결성 촉진’이 포함된 것을 시작으로, 이후 방공연습이 실시되는 지역에서는 연습을 앞두고 집중적으로 가정방공조직을 설치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같은 해 11월 8도 방공연습부터는 가정방공 조직을 동원하여 훈련에 참여시켰다. 사실 1939년 전반기까지는 경기도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 가운데 조선에서 가정방공 조직이 설치된 지역은 각 지방의 중추도시, 항구, 공업도시 등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1939년 7월 3일 부령(府令) 제104호의 발포로 방호단 등의 기존 조직이 경방단으로 통합, 재조직되면서, 가정방공조직도 경방단의 방계조직으로서 함께 정비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역에 따라 상이했던 가정방공 조직의 명칭은 ‘가정방호조합’으로 통일되었고, 부(府), 군(郡), 면(面) 단위의 지역까지 확산되었다. 그러나 1941년 가정방호조합은 해체되고, 그 업무는 애국반으로 인계되었다. 애국반이 가정방공을 담당하게 됨으로써, 기존에 가정방호조합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까지도 포괄하는 전국적인 방공망이 완성되었다. 또한 가정방공의 지침들을 각 반원의 가정까지 침투시키고, 훈련을 통해 일상화시키는 데 중요한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한편 애국반이 가정방공의 중심적 역할을 하면서, 가정방공 활동의 실제적 활동에 가정주부의 참여가 본격화되었다. 주부들은 자신의 가족을 지켜야 한다는 명목으로 각종 강습회, 전람회, 영화, 근린 조직 등에 참가하여, 생소한 방공지식을 배워야만 했다. 또한 연습에 동원되어 방공지식을 실천하고, 가정내 방공 설비를 갖추었는지 경찰의 검사도 받아야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식적인 국민교육에서 소외되었던 대다수의 가정주부들은 ‘국민화’에 노출되기 시작했다. 그런데 당시 문맹률이 높은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만으로는 방공지식의 보급이 미흡하였기 때문에, 조선총독부는 학생을 통해 가정까지 방공지식을 전달하려는 시도를 병행하였다. 이에 소학교 학생은 물론 장래 주부가 될 여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의 방공 수업이 실시되었다. 소학생을 위해 그림 위주의 별도 교재를 제작하기도 하였지만, 당시 방공교육과 선전에서 가장 기본적인 지침서로 활용된 것은 1941년 발행된 『시국방공필휴(時局防空必携)』와 1943년의 개정판이었다. 그러나 각 가정마다 충분히 배포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그 내용을 『매일신보』에 전재함으로써 배포를 대체하는 효과를 도모하였다. 이 밖에 가정에서 반드시 지켜야 하는 사항은 전단지와 팜플렛 등에 인쇄하여 배부하기도 했다. 이렇게 보급된 방공 지식은 방독, 방화, 피난, 구호 등과 같이 공습 상황에 대비하는 내용도 있었지만, 방공식·방공복장·방공호 등 의식주 생활과 직결되는 내용도 적지 않았다. 그런데 이러한 가정방공의 실행 내용은 단순히 공습이라는 특수상황에 국한되지 않고, 전시체제기 총독부가 권장하던 전시생활지침과 맞물리면서 점차 일상적인 생활지침으로 변화하였다. 결국 이 때 가정방공은 공권력이 가정의 일상생활에까지 깊이 개입하는 매개로 작용하였다. 물론 전시체제기의 전시생활 및 가정방공 지침을 식민지 조선인들이 전부 숙지하고, 그대로 실천했다고 단언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당시 보급된 가정방공지식은 실천 여부와는 별개로, 이러한 전쟁 상황, 철저한 내핍이 필요한 상황에 대처하는 지식체계로서 주부, 학생 등을 중심으로 당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파급되었다는 점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광복 직후는 물론 한국전쟁 이후까지도 가정방공과 관련한 지식이 지속적으로 활용되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담당조직의 성립과 변화
  1. 가정방공조직의 대두
  2. 가정방호조합의 확산
  3. 애국반으로의 통합
 Ⅲ. 가정방공의 내용과 보급 대상
  1. 교육 대상 및 방법
  2. 보급 내용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숙 Kim, Hye Suk.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