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몽골 목축업의 현황과 미래전망

원문정보

The Present Condition & Future View of Stock Farming in Mongolia

이효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몽골경제는 시장경제를 지향하고 있는데, 시장경제가 실제로 몽골 경제에 적합한가에 대해서는 몇 가지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현재 전 사회주의 국가에서 진행 중인 계획 경제에서 시장 경제로의 전환이 몽골의 유목사회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견해이다. 왜냐하면 자유 시장경제란 본질적으로 서구사회에서 좌업(Sedentary job), 농업, 제조업의 경험에 바탕을 둔 것이고, 러시아와 중국의 경제적 기반도 본래 자본주의의 기반과 비슷한 것이어서 성공가능성이 있으나 몽골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몇 가지 요인을 생각해 보면, ➀ 몽골 사회는 유목 사회이기 때문에 이동성이 강하다는 것이다. 가축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정착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지정된 장소에서 부의 축적보다는 이동적인 부의 축적, 예를 들면 가축 수의 증가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 ➁ 가축의 고기를 주식으로 하고, 물고기는 종교적인 이유에서 먹지 않으며, 야채도 먹지 않기 때문에 농업의 발전이 어렵고 균형적인 산업구조를 갖추기 어렵다. ➂ 유목이 주업이기 때문에 외로운 생활을 많이 하여 솔직하고 감정적이며 판단이 단순하기 때문에 자본주의 사회 관습과 어울릴 수가 없다. ➃ 목초지를 따라 유목하기 때문에 사유제 개념이 희박하고 공유제 개념이 타당하다. ➄ 교역은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사기나 거짓이 개재될 수 있으므로 교역을 주로 물물교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호한다. ➅ 화폐 사용, 특히 지폐인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다. 또한 외로운 유목생활이기 때문에 화폐의 용도가 다양하지 못하고 의미가 없다. 금속화폐가 아닌 지폐는 재산 축적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재산 축적의 수단은 주로 가축의 숫자가 된다. ➆ 노동의 질보다는 노동의 양을 중시한다. 왜냐하면, 목동의 숫자가 가축의 숫자와 비례하기 때문에 노동의 질은 그다지 중요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같은 유목생활의 경제관은 유목을 바탕으로 한 산업 구조에 맞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회주의 경제 체제의 운용이 몽골의 유목기질에서 성공할 수 없었듯이, 시장경제 체제의 전환도 몽골의 유목적인 경제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을지 크게 의문시된다. 따라서 몽골의 경제적 부흥은 유목 사회에 맞는 몽골적인 경제 체제의 개발과 선택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

목차

개요
 Ⅰ. 몽골유목의 특징
 Ⅱ. 유목민의 문화
 Ⅲ. 텐트형 이동 주택 ‘게르(Ger)'
 Ⅳ. 유목민의 농경문화
 Ⅴ. 유목문화의 쇠퇴원인
 Ⅵ. 현대몽골의 유목의 전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효선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