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폴리아미드섬유를 사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Fire-proof Characteristics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Polyamide Fiber

이수철, 전중규, 전찬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ly architectural structure is getting high-rise and bigger, a use of high strength and high performance concrete has been increased. High performance concrete has cons of explosion in a fire. This explosion in the fire can cause the loss of the sheath on a concrete surface, therefore it effects that increasing a rate of heat transmission between the steel bar and inner concrete. Preventing this explosion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in the fire, many kinds of researches are now in progressing. Typically, researches with using polypropylene-fiber and steel-fiber can prove controling the explosion, but the reduction of mobility was posed as a problem of workability. Consequently, to solve the problem as mentioned above, concrete cans secure fire resisting capacity through the using of coating liquid, including Ester-lubricant and non-ionic characteristic surfactant. This research has been drawn a ideal condition in compressive strength areas of concrete by an experiment. When applying 13mm of polyamide fiber, proper fiber mixing volume by compressive strength areas of concrete more than 2.5kg in 160MPa. These amount of a compound can control the explosion.

한국어

최근 건축구조물은 초고층화, 대형화에 따라 고강도 및 고성능콘크리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고성능콘크리트는 화재 시 발생하는 폭렬현상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폭렬은 화재 시 콘크리트 피복의 손실을 초래하여 내부콘크리트와 철근의 열전달률(rate of heat transmission)을 높여 콘크리트와 철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고강도콘크리트의 화재 시 폭렬을 막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 강섬유를 사용한 연구들이 폭렬제어성능을 입증되었으나 유동성 저하에 따른 시공성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에스테르계 윤활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코팅액으로 코팅된 polyamide 섬유를 혼입하여 내화성능을 확보하였으며 강도영역별 최적 조건을 실험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13mm의 polyamide 섬유 적용시 강도영역별 적정 섬유 혼입량은 160MPa는 2.5kg이상에서 폭렬제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폴리아머드 섬유
  2.2 폭렬 메카니즘
 3. 실험 계획 및 방법
  3.1 실험 개요
  3.2 사용 재료
  3.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및 고찰
  4.1 기초 특성
  4.2 열적 특성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수철 Lee, Soo-Choul. 정회원, 가천대학교 경원캠퍼스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 전중규 Jeon, Joong-Kyu. 정회원, 코오롱건설 기술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전찬기 Jeon, Chan-Ki. 정회원, 인천대학교 도시건설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