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경쟁력 평가를 통한 도시 브랜딩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문화경쟁력과 도시발전가능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ity Branding as Cultural Equity Value of Tangible and Intangible : Focus on 7Citys

구승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onality of city branding through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equity. By conducting literature study and preliminary examination, the investigator sorted out new concepts of cultural competitivity and city branding and analyzed seven metropolitan cities in terms of cultural competitivity.
The preliminary examination before assessing city competitivity identified eight areas of assessment including living environments, potential for growth, tourism competitivity, cultural environments, cultural administration, culture and tourism,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satisfaction with cultural resources. The seven areas contained 27 indicators, based on which I compared and analyzed seven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and Busan and their residents in terms of cultural and city competitivity.
The results show that “living environments,” “cultural competition,” “cultural administration” and “culture and tourism”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possibility for growth.
Among the seven metropolitan cities, Seoul recorded the highest competitive edge in most of the items but was relatively weaker than the other cities in tourism competitivity. Following Seoul in all the areas, Busan recorded the highest points in tourism competitivity.
In the study, the cities were assessed for cultural competitivity and measured for tourism competitiv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ssessment results represent each city’s competitive edge in future and that cultural competitivity can support a city’s economic power and drive its growth in future. The biggest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at it offers an analysis framework to diagnose each city’s cultural competitivity.

한국어

문화경쟁력이 과연 도시의 미래발전성을 담보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도시의 문화적 경쟁력에 대한 평가를 통한 도시 브랜딩의 방향성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초조사를 통해 7개 부문, 27개의 세부 지표를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7대 광역도시에 대해 각 도시의 지역민들을 상대로 각 도시의 문화경쟁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시 발전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생활환경’, ‘문화경쟁’, ‘문화행정’, ‘문화관광’ 등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광경쟁력의 항목에서는 상대적 취약성을 나타내었다. 부산은 모든 영역에서 서울 다음으로 자리하고 있었으며, 관광경쟁력 요인에서는 서울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경쟁력 평가를 통해, 각 도시 간 관광경쟁력을 측정하고 이 결과가 결국 도시의 미래경쟁력을 담보한다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 문화경쟁력을 갖춘 문화도시가 도시의 미래 경제력을 받침하고 발전의 동력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더불어 각 도시의 문화경쟁력을 진단할 수 있는 상시적 분석의 틀을 갖추었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서론
 선행연구 및 기존문헌 고찰
  문화와 문화도시
  문화경쟁력
  도시 브랜딩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연구모형
  연구문제 설정
  변수의 조작적 정의
 연구방법
  자료수집
  설문 문항의 구성
  측정 및 분석방법
 연구결과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요인분석 및 신뢰성 검증
  연구문제 검증 및 결과 분석
 결론
  연구결과 요약 및 함의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승회 Seung-Hwe Koo. 신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