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태블릿PC 신제품광고의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반응변인들의 영향력 차이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Advertisement Response variables upon the Type of Advertising Appeal tablet PC new product advertisement.

류진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at performing empirical analysis on how the difference of impact appears among advertisement response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ad, brand belief, attitude toward the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to individual's self monitoring and level of prior knowledge in the process of handl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processing in compliance with the type of appeal for new product advertisement, with object of tablet PC which has been recently born as a new high technology product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has been verified that, in case of high technology product, to form effective brand attitude through new product advertisement, it's effective to approach by differentiating the type of appeal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consumer's prior knowledge toward product, and it's necessary to deliver product's basic attributes, though advertising new product by utilizing image appeal type, and in case of advertising the type of information appeal, it's necessary to consider consumer's self-monitoring level. Also it has been found that it's necessary to suggest product's basic attributes not only in information appeal type advertisement but also in image type advertisement, This has meaning in point that it is suggesting more effective strategic direction not only to the research on advertisement data-processing research related to new product in the future, but also to the current industry that is producing and operating actual advertisement.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하이테크놀로지 제품군으로 탄생한 태블릿PC를 대상으로 신제품광고의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 정보처리 과정에서 자기감시와 사전지식의 수준에 따라 광고반응 변인들 간의 영향력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하이테크놀로지 신제품광고가 효과적으로 브랜드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사전지식 수준에 따라 소구유형을 차별화하여 접근하여야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정보소구 광고의 경우 소비자의 자기감시 수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정보소구 유형의 광고는 물론 이미지소구 유형의 광고에서도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기본적인 속성 정보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향후 신제품과 관련한 다양한 광고 정보처리 과정 연구는 물론 광고현업에서 수많은 신제품광고를 제작하고 집행하는 과정에 보다 효율적인 전략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보다 체계적인 크리에이티브 개발을 위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목차

요약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1) 신제품과 신제품광고
  2) 정보 전달형 광고와 이미지 전달형 광고
  3) 자기감시(self-monitoring)
  4) 사전지식(prior knowledge)
  5) 가설설정
 3. 연구방법
  1) 사전조사
  2)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3) 실험절차 및 피험자
  4) 변인의 조작 및 측정
 4. 결과분석
  1) 가설검증을 위한 실험모델의 설정 및 타당도 검증
  2) 실험모델의 수정
  3) 가설검증
 5. 연구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진한 Ryoo, Jin Han. 한양대학교, 광고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