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00년대 패션트렌드에 나타난 전지구화현상의 변증법적 해석 - 초역사주의와 혼합주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Dialectical Interpretation of the Affect of Globalization on Twenty-first Century Fashion Trends - Super-historicism and Syncretics -

이은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pread of the zeitgeist of the 21st century is the process of change and strength which can be summarized as globalization. Creation and loss of bonding, and points and crossroads of various conflicts between identities concerning individual identity acted as a visual symbol and came to set the direction for changes found in fashion trends. Globalization allowed the existence of different aspects that compress time and space which changed the form of modern society. These changes fragment the cultural identities found under the name of class, gender, sex, species, race and ethnicity which forms the identity of each individual. Our individual identity migrates along with the process of change which also affects the sensation of self as an integrated subject. The geographical features attached to national identity started to compete with one another which resulted to showing occlusiveness via the pressures of difference, otherness and cultural variety. The result varied but it was witnessed in all Western national cultures which led to raising the issue of national identity and eventually resulted in opening the heart of Western culture. Therefore, globalization became centralized and allowed closed national cultural identities to compete and dislocate with each another. In fashion trends, various preferences and styles based on different cultures were borrowed and expressed as personalized looks and used diversified cultural trade and super-sovereign symbols in a playful manner. They express openness to other cultures and can be understood as an approach that partially borrows other styles that are known for their openness. The super-historicism of fashion strives to embrace globalization but at the same time applies more refined, moderate and sophisticated skills to general ethnic wear that is shown in syncretism in a wider area and scope. The dynamics of globalization in universality vs. uniqueness, homogeneity vs. differential, integration vs. fragmentation and syntropic vs. convergence were passed down to mature into the current unique form. History and modern fashion trends are combined to create a unique third identity that is displayed via visual manners.

한국어

세기 들어 강력하게 전이되고 있는 시대정신(zeitgeist)은 ‘전지구화(gobalization, 全地球化)’라는 용어로 요약될 수 있는 복잡한 변화 과정과 힘이다. 전지구적 상호연관성에 대한 이 확장된 인식은 공유된 공동체라는 감각을 창출할 수 있었다. 특히 전지구화 내에 존재하는 시공간 압축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양상들은 현대 사회의 형태를 바꾸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우리를 사회적 개인들로서 확고하게 자리잡아 주었던 계급이나 성별, 성, 종족, 인종 그리고 민족성이라는 문화적 정체성들을 파편화한다. 전 세계적인 것과 지역적인 것 사이의 긴장은 서구사회의 정체성의 측면에서 첫 번째로 민족 정체성의 정착된 지형들이 경합하면서 차이, 타자성 그리고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압력에 대해 그것들이 지니고 있는 폐쇄성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나타났다. 이것은 정도는 다르지만 모든 서구 민족 문화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고, 그 결과 민족 정체성이라는 이슈를 낳게 되고, 서구의 문화적 중심성을 개방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전지구화는 정체성을 다원화시키는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다양한 가능성과 새로운 동일화의 위치들을 낳고, 정체성의 다양화와 탈고정적 비통합적 정체성들을 만들어낸다. 이는 패션트렌드에서 다양한 문화권에서 기인한 기호와 스타일들의 단순한 차용에 의해 개인화된 룩으로 표현되며 다원화된 문화적 교환과 초국적(招國的) 기호들을 유희적으로 사용한다. 이는 타문화에 개방성을 표현하는 것이며 상호 개방적 스타일에 대한 부분적 요소들을 차용하는 접근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전지구적 이해관계에 직면하여 논쟁적인 쟁점들이 출현하면서 초역사주의는 사회적 교환의 체재를 표방하며 패션의 창조성이라는 관점에서 전지구적 정체성이라는 테마 아래 현대패션의 비전형적 콜라쥬를 구성하고 있다. 이 같은 미의식은 한 개의 문화적 동일성을 표현하는 대신 이질적인 문화경험의 표현과 개작되었거나 과도기적 문화 정체감들 간의 협상을 창의적으로 허용하는 패션트렌드의 역사성과 모던한 현대성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고유한 제3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각적 재현으로 형상화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전지구화의 정의와 개념
  2. 전지구화의 영향과 정체성
  3. 패션트렌드에 나타난 전지구화 현상의 변증법적 해석을 위한 연구의 모형
 III. 2000년대 패션트렌드에 나타난 전지구화 현상에 대한 수용적 관점의 초역사주의와 혼합주의
  1. 초역사주의: 차용성과 유희적 교환성
  2. 혼합주의: 지역성과 문화접변성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지 Lee, Eun Ji.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