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MB 정부의 학교 자율화 정책 집행과정 분석 : 교육과정 자율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f School Autonomy Policy Implementation by the MB Government: Focusing on Curriculum Autonomy at School Level

김재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tried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School Autonomy Policy by MB Government focusing on curriculum autonomy at school lev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policy variable, unclear policy goals made implementation staggered, while some policy measures which were not feasible were forced to be activated at each school. Secondly,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 Technology, which is in charge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had a strong will to implement the School Autonomy Policy but school teachers seemed to recognize the autonomy as 'forced autonomy'. Third, school teachers as policy target group showed some noncompliance toward the school curriculum autonomy policy. Specifically, communication-oriented noncompliance and policy goals-oriented noncomplianc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Finally, the public opinion and mass communication began to criticize the School Autonomy Policy including curriculum autonomy policy, pointing to the problems brought about in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한국어

MB 정부가 추진해 오고 있는 ‘학교 자율화 추진계획’ 가운데 3단계 학교 자율화 조치의 하나인 교육과정 자율화는 그 의도와는 달리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 정책에 대한 학교 현장의 수용도가 떨어지고 있는 이유에 주목하면서 문헌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정책의 집행과정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 자체 변인 측면에서 정책의 목표가 무엇인지가 명확하지 않았고,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도 학교 현장에서 소화하기 쉽지 않은 것이었다. 둘째, 정책집행을 책임지고 있는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의 정책 집행 의지는 강했으나, 이것이 학교 현장에서는 ‘강요된 자율’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했다. 셋째, 정책대상 집단인 교사들의 불순응도 학교 자율화 정책의 집행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교 자율화 정책에 대한 의사소통 관련 불순응과 정책 관련 불순응(목표 불순응)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끝으로, 언론과 여론도 시간이 지나면서 학교 자율화 정책, 특히 교육과정 자율화의 문제를 부각시키면서 비판하고 있는 것도 정책의 집행에 부담이 되고 있다.

목차

< 요약 >
 I. 문제의 제기
 II. 학교 자율화 정책 집행과정 분석모형1)
  1. 정책 자체 요인
  2. 정책집행 기관 및 집행자
  3. 정책대상 집단
  4. 환경의 영향
 III. 학교 자율화 정책 집행과정 분석
  1. 정책 자체의 영향
  2. 정책집행 기관 및 집행자의 태도
  3. 정책대상 집단의 반응
  4. 환경의 영향
 I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재웅 Kim, Jae-Woong. 서강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