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effectivenes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he program was construct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Eun Ju Jang(2007). And it was corrected by pilot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20 two-years experienced teachers who were teaching 3-5 years olds in J City at Jeonbuk. The 2 scales made by the researchers based on Eun Ju Jang(2007)'s scales were used.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positive influences on teachers' attitudes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in all sub-areas(value/ faith/ feeling). Second, There were positive influences on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in all sub-areas(the elements of movement/ teaching method/ integration &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elements of movement and activity type in early childhood movement activiti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교사를 위한 유아 동작교육 프로그램을 고안, 실시하여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 20명이다. 이들은 교육 경력이 만 2년 이상이며, 현재 만 3, 4, 5세 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교사들이다. 연구 도구로는 장은주(2007)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음악교육 관련 측정 도구를 동작교육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 교사를 위한 동작교육 프로그램은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가치, 신념, 감정 등 모든 하위영역에 걸쳐 향상시켰다. 둘째, 현직 교사를 위한 동작교육 프로그램은 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동작의 요소, 동작 교수법, 그리고 활동 속에서의 동작요소 및 활동유형에 따른 교수방법의 통합, 적용 등 모든 하위영역에 걸쳐 증진시켰다.
목차
I. 서론
II. 유아 동작교육의 실태 및 교사교육
III.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IV. 연구결과 및 해석
1. 현직 교사를 위한 동작교육 프로그램 교육에 따른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2. 현직 교사를 위한 동작교육프로그램에 따른 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전문성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