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맹자의 兼善, 出仕, 정치참여

원문정보

The Theory of Mencius'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of Gyeomseon (:Sharing the Goodness)

맹자의 겸선, 출사, 정치참여

안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fucian idea of men's legitimacy for participation in the politics focusing on Mencius, who emphasized the Confucian intellectuals' legitimacy of participation in the politics earlier and stronger than anybody else. In this study, I looked especially into the Mencius's theory of Gyeomseon (兼善: inspiring the others as well as you to make you and them all be good) and Dokseon (獨善: being alone to be good) that looked for the legitimacy of the power and the criteria of great kings from the matter whether Confucian intellectuals participated in the politics. It is important in appointment of manpower to nominate right people to right places and right positions. Mencius said that the best virtue of the highest ruler, king, was 'to share' the 'goodness of the others', which meant 'to share [兼 Gyeom]’ the 'goodness [善 Seon]'. The power that works not for 'Gyeomseon' that good people can participate in the politics but for 'Dokseon' that the power enjoys the goodness of such good people for itself only is a politically poor power and furthermore even unjustified power. The examples of Dokseon and Gyeomseon in Joseon Dynasty can be found from the lives of Nammyeong Cho Sik and Yulgok Lee Yi. Nammyeong went the way of Dokseon or the way of training for himself criticizing the situation too unjustified to take an official job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finally lived as a scholar at home while Yulgok went the way of working for the central government until he died at 49 living for Gyeomseon strongly asking King Seonjo to perform the Mencius's theory of Gyeomseon.

한국어

이 논문은 맹자(孟子)를 중심으로 인간의 정치참여적 당위성에 대한 유교적 견해를 이해하고자 한다. 맹자는 누구보다 일찍, 그리고 강하게 유교적 지식인의 정치참여의 정당성 강조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특히 권력의 정당성과 성군의 척도를 유교적 지식인의 정치참여 여부로 판단하는 맹자의 겸선(兼善)과 독선(獨善) 이론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인재등용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적재적소에 적임자를 임명하는 것이다. 맹자는 최고통치자인 군주의 최고덕목을 ‘남의 선함’을 ‘공유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곧 정치적 능력을 보유한 자들의 ‘훌륭한 자질[善]’을 ‘공유하는 것[兼]’이다. 따라서 유덕자들이 정치에 참여하는 '겸선' 활동을 하지 못하고 홀로 그 덕을 누리는 ‘독선’의 상황은 정치적으로 불우한 정권, 심지어 부당한 정권이기까지하다. 독선과 겸선의 조선적 예로는 남명 조식과 율곡 이이를 들 수 있다. 남명은 3대에 걸쳐 조정에 출사하기 부당한 상황을 말하며 독선 혹은 자수(自守)의 길을 걸으면서 '처사(處士)로 일생을 마쳤고, 율곡은 선조에게 맹자의 겸선론의 실천을 강조하면서 스스로 겸선 활동을 하며 49세 임종할 때까지 ‘출사(出仕)’의 길을 걸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유교적 지식인의 두 길 : 出仕와 處士, 兼善과 獨善
  1. 出仕와 處士
  2. 맹자: 兼善과 獨善, 大人과 天民
 Ⅲ. 兼善의 실천과 방법
  1. 堯와 舜의 역사적 사례
  2. 정치참여자의 위상과 권한, 그리고 겸선의 효과
  3. 정치참여의 유형
 Ⅳ. 조선적 계승
  1. 南冥曺植: 처사와 독선, 自守의 길
  2. 栗谷李珥: 출사와 겸선, 治人의 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외순 Ahn, Woe-soon. 한서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