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bout ambivalent recognition of history of Kim, Sang-Hun(金尙憲) and Choi, Myung-Kil(崔鳴吉) in early 17th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ideological How were each of its two-sided castle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and is avoided, ‘Advocacy of war(척화)’ and ‘Advocacy of peace(주화)' contrary to the stance of an optional topcoat(常道) and Kwondo(权道) can be summed up, the two methods differed from the reality of the corresponding fundamental foundation ‘Advocacy of war’ justification for the alleged admission of Kim, Sang-Hun and loyalty schemes to seek reasons for Neo-Confucianism was derived from the well compared to the ‘Advocacy of peace' of the alleged admission Choi, Myung-Kil practical importance of the subject to establish and subjective judgments derived from philosophy of Yang-ming(陽明學) system was the reason.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초 김상헌과 최명길의 양면적 역사인식을 고찰하여 그들의 사상적 특성이 각각 어떠하였으며, 그 양면성의 융합과 지양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김상헌은 의리사상과 춘추정신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여 인간의 행위와 가치의 기준으로서의 인도를 지켜 나가는 경상의 원리를 강조하며 청나라 군대에 의한 굴욕적인 타협을 거부하고 ‘척화(斥和)’를 주장하였다면, 최명길은 나라와 민족을 위기에서 구출하고자 이념적 대의에 앞서서 현실의 타개를 우선적으로 중요시하여 잠시 명분을 굽혀서라도 국가와 백성을 보존하고자 하는 실제적 논리를 전개해 후일을 도모하고자 ‘주화(主和)’를 선택하였다. ‘척화’와 ‘주화’로 상반된 양인의 입장은 상도(常道)와 권도(權道)로 요약될 수 있으며, 두 사람의 현실대응 방법이 달랐던 근본토대는 ‘척화’를 주장한 김상헌의 입장이 명분과 의리를 추구하는 주자학적 사유체계에서 도출된 것이었음에 비해 ‘주화’를 주장한 최명길의 입장은 실천적 주체의 확립과 주체적 판단을 중시하는 양명학적 사상을 기반으로 드러난 것이었다. 김상헌의 ‘척화론’과 최명길의 ‘주화론’의 갈등은 단순히 과거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라고 보며, 이들의 각각의 입장과 그 양면적 역사인식을 조화롭게 지양함이 우리들이 풀어가야 할 남겨진 숙제라 하겠다. 즉 이념성과 현실성, 경상과 권변을 어떻게 발전적으로 소통하고 융합시켜야 나가야 하는지 관심과 노력이 시대적 과제로 요청된다. 다양한 가치관의 갈등을 안고 있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의리와 실리의 조화라는 철학적 방향을 추구하고자 함에 본 논문의 일정한 의의를 두고자 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병자호란과 국난극복의 두 흐름
Ⅲ. 김상헌의 의리사상과 斥和論
Ⅳ. 최명길의 현실의식과 主和論
Ⅴ. 병자호란기 양면적 역사인식 재조명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